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7 06:51 (토)
발사르탄 사태와 제네릭, 공동생동 대처법
상태바
발사르탄 사태와 제네릭, 공동생동 대처법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19.02.28 09: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혈압약에 발암물질이 들어 있다는 이른바 발사르탄 사태는 제약사들에게 많은 충격을 안겨줬다.

국민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당국도 좌불안석으로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면서 노심초사했다. 시간이 흘러 사건은 잠잠해 졌지만 재발방지책은 더디기만 하다.

이런 가운데 식약처장·제약업계 CEO 간담회가 열려 주목을 끌었다. 류영진 식약청장은 발사르탄 사태를 먼저 언급했다. 난립해 있는 제네릭 시장에 대해 우려감을 표시한 것이다.

그는 고혈압약 회수 실태를 보면 외국의 경우 우리나라보다 시장 규모가 큰 곳도 10에서 15개 정도 회수했으나 우리는 품목 수가 무려 175개에 달한 사실을 상기시켰다.

제네릭 숫자가 많아도 너무 많다는 것. 이런 상황이니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는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도 문제의식을 공유했다.

그는 전문가다운 견해로 좀 더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했다. 난립한 제네릭을 규제하는 대신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아야 한다는 것.

이것은 위탁생동을 제한해 제네릭을 말살시킬 것이라는 일부 제약사들의 우려를 불식시키는 대목이다.

치밀하고 촘촘한 강화로 안전하고 우수한 의약품을 생산할 때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를 가져올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제약업계 스스로 변화를 감내하면서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위탁 공동 생동을 일시에 폐지하는 것이 아닌 단계적 폐지라는 방향도 제시했다.

이는 식약처가 업계의 의견을 고려한 고육지책의 일환이다. 단계별로 생동 허가 품목 수를 제한하고 시행시기도 유예기간에 맞게 조정했다. 업계의 요구도 수용하고 의약품의 안전 유통도 보장하겠다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노린 셈이다.

의약품 시장은 우리나라가 반도체처럼 세계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기를 기대하는 분야다. 하지만 아직은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신약개발은 쉽지 않고 제네릭 의약품은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와중에 공동생동으로 인한 불량의약품이 생산되면 국민의 신뢰는 물론 세계시장에서도 국산 의약품 수출길은 요원해 질것은 자명한 이치다.

정부가 제네릭 의약품을 규제가 아닌 강화에 방점을 찍은 것은 이 같은 이유 때문이다. 업계도 이제는 품질관리에 더욱 신경을 쓰면서 제네릭 경쟁이 아닌 신약개발에 더욱 몰두해야 한다.

발사르탄 사태를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