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한의사협회(회장 최혁용)이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 논평을 내고, 한의사도 일제의 잔재에서 벗어나 ‘통합의사’로서 진정한 독립을 이뤄내야한다고 밝혔다.
한의협은 “빼앗긴 주권을 되찾기 위한 3.1 운동은 훗날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는 단초를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광복을 맞이할 때까지 정신적 버팀목으로서 역할을 해왔다”며 “안타깝게도 한의계는 아직 진정한 독립을 맞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한의협은 “1900년 대한제국 의정부 총무국 관보과에서 발행한 관보에 의하면 당시 의사는 전통의학을 수행하는 한의사를 위주로 하여 서양의학의 지식과 신기술을 습득한 의료인을 포괄하는 개념”이라며 “1899년 설립된 관립학교에는 종두법으로 유명한 한의사 지석영 선생이 초대 교장으로 임명되고, 같은 해 3월 황성신문에 ‘내과는 서양의술과 동양의술을 서로 참조하여 가르친다’는 내용의 기사를 보더라도 당시 의사였던 한의사가 ‘통합의사’로서 역할을 담당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일제의 무단통치가 시작되고, 민목문화 말살의 일환으로 ‘한의학 말살정책’이 집요하게 전개, 한의사는 의생으로 격하되면서 한의사의 의권은 끝없이 추락했다는 게 한의협의 설명이다.
한의협은 “한의학 말살정책과 맞물려 일제 강점기부터 시작된 서양의학 우대정책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한의사들은 환자 진료에 현대의료기기를 자유롭게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며 “치매 국가책임제, 장애인 주치의제, 커뮤니티케어 등 국가가 주도하는 공공의료정책에서도 소외되고 있다”고 꼬집었다.
여기에 한의협은 최근 들어 한의계의 위상을 높이는 정책들이 추진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
한의협은 “다음달부터 추나치료에 건강보험이 적용되고, 첩약 급여화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시작했다”며 “오는 28일에는 국회에서 남북보건의료협력 방안 마련을 위한 국회토론회가 개최돼 한의학을 매개로 한 인도주의적인 차원의 남북교류 재개 방안을 모색하는 등 한의계가 다양한 방면에서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고 말했다.
한의협은 “‘3.1 운동’ 100주년을 맞아 일제의 잔재를 말끔히 털어내고 한의사가 통합의사로서 본연의 모습을 하루 빨리 되찾는 것이 우리의 역사적 소명이자 시대적 과제”라며 “한의협은 국민의 건강증진과 생명보호라는 중차대한 책무를 훌륭히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통합의사의 길을 묵묵히 헤쳐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