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5 18:17 (목)
신약개발비 지원 이제는 정부가 화답해야
상태바
신약개발비 지원 이제는 정부가 화답해야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19.01.18 09: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약업이 미래 먹거리 산업이라는 말은 오래전부터 있어왔다.

신성장 동력이라고도 하고 고부가치 산업이라고도 했다. 그런가 하면 일자리 창출에 있어서도 적지 않는 역할을 하는 효자 산업이라고도 했다. 

하지만 말만 무성할 뿐 정부 지원은 제자리 걸음에 머물러 있거나 초보적인 단계에 불과한 실정이다. 말로는 상찬을 하면서도 실재에 있어서는 그에 미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업계는 정부 지원, 특히 연구개발비 부분에 더 많은 투자가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마침 원희목 한국제약바이오협회장도 이 점을 강조하고 나서 업계의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10개월여 만에 협회로 돌아온 원희목 회장의 일성도 여기에 방점이 찍히고 있다.

원회장은 최근 제약업이 미래 동력산업이라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는 것은 맞다면서도 구체적으로 어떤 로드맵이 정부에서 추진되고 있는지는 불확실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그는 제약업이 국책산업이라는 선언적 절차가 중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정부 차원에서 추진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그런 과정을 통해 정부의 투자의지가 고무되고 실제로 투자 금액도 증액 될 수 있다는 것. 미래 신산업으로 제약업이 100대 국정과제로 선정되기는 했지만 지원이라는 측면에서는 여전히 미흡한 것이 사실이기 때문이다.

R&D 투자 대비 정부의 지원은 8%에 불과한 것이 이를 증명한다. 이는 미국의 37%나 일본의 19%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여기에 국산 신약에 대한 낮은 성과보상체계등을 감안하면 제약산업 현장에서 느끼는 체감도는 냉돌 수준에 머물고 있다.

물론 연구 개발비를 정부가 모두 충당할 수는 없다. 개별 제약사의 몫이 중요한 것만은 분명하다. 국내 제약사들도 많은 액수의 연구 개발비를 지출하고 있다. 상위사들의 경우 해마다 1000억원 이상의 연구비를 사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 제약사들과 경쟁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비 투입이 절실하다. 부족한 부분에 대한 정부 지원이 절실한 이유가 여기에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내수 인프라가 적은 경우는 수출로 타개해야 하는데 이 때 필요한 것은 제네릭 제품이 아닌 신약이기 때문이다.

우리와 실정이 비슷한 벨기에와 스위스 같은 국가가 글로벌 제약선진국으로 도약한 것은 제약사 스스로 노력한 부분도 크기만 정부 지원도 한 몫한 것은 분명하다.

벨기에의 경우 정부가 국가 R&D 예산의 40%를 제약 부문에 투자하고 스위스는 연간 1000개의 산학협력 프로젝트에 연구비용의 50%를 지원하고 있다.

업계는 원회장의 이런 지적을 정부가 제대로 인식해 가급적 빠른 시일내에 적절한 투자가 제약업에 이뤄질 것을 기대하고 있다. 이제는 정부가 어떤 식으로든 화답할 차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