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7 06:51 (토)
편의점약 반대에 이전에 생각해 볼 일은 없나
상태바
편의점약 반대에 이전에 생각해 볼 일은 없나
  • 의약뉴스
  • 승인 2018.01.16 10: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약사회 분회 정기총회가 일제히 실시되고 있다. 분회원들의 생각이 일반 약사들의 여론이라고 본다면 이번 총회는 안전상비약 편의점 확대에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총회에 참석한 약사들은 약의 전문가인 약사들이 약의 통제권을 상실하고 편의점 알바생에게 넘어간다는 사실에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안전한 약은 어디에도 없는데도 정부가 밀어부치고 있어 어떤 식으로 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더 이상 약이 약국이 아닌 편의점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는 것이 일차 목표 이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품목을 최소화하고 그 대안으로 당번의원-당번약국제를 내세우고 있다.

심야시간이나 공휴일에 아파도 갈 곳이 없는 것은 병의원이 문을 닫았기 때문이라며 당번의원제를 실시하면 자연히 당번약국제가 따라와 편의점에서 약을 판매하지 않아도 된다는 논리다.

그런가 하면 그동안 꾸준히 제시해온 공공심야약국을 확대하자는 목소리도 빠지지 않았다. 심야시간에 약국 문을 돌아가면서 열어서 국민 편의를 도모하자는 것이다.

현실적인 목소리도 나왔다. 1인 1 국회의원 후원 캠페인이 그것이다. 어차피 법으로 해결해야 한다면 우군을 많이 확보하자는 것. 더구나 올해는 지방선거 등 선거의 해이므로 약사들이 뭉치는 힘을 보여줘 표를 의식하는 정부를 압박하자는 것이다.

이처럼 막는 것이 최선이지만 다른 대안이나 힘의 논리를 제시하는 성의를 보이는 것은 정부 정책이 워낙 강경하기 때문에 여러 차선책을 내놓지 않으면 안 되는 막다른 상황에 몰렸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대한약사회는 신년 기자 회견을 열어 분회 의견을 취합해 정책 방향을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조찬휘 회장은 주무부서인 복지부에 의정협의체처럼 약정협의체를 제안하고 이 협의체에서 편의점약 문제를 매듭짓자고 주장했다.

하지만 안전상비약품목지정위원회가 이미 있는 만큼 복지부에서 따로 약정협의체를 만들 이유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를 염두에 둔 듯 조회장은 심의원회가 계속 추진된다면 수차례 약속한대로 합의 대신 표결에 의한 결론 도출은 지양해 달라고 요구했다.

표결로 갈 경우 약사회가 원하는 결과를 얻을 수 없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지난 회의에서 표결직전 약사회 대표로 참석한 강봉윤 약사의 자해 시도로 표결을 무산시킨 바 있다.)

공공심야약국에 대해서는 보건소를 이용한 공중보건약사제도가 궁극적 목표라는 점을 강조했다. 

공공보건약국을 설치할 수 없는 보건지소를 일부 빼고, 보건소 500여 곳과 보건지소 약 600곳을 합쳐 1100여 곳에서 심야시간에 약을 공급하면 문제가 어느 정도 해결된다고 보고 있다.

심야약국 운영은 약사의 일방적 희생만을 요구하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볼 때 대안으로 적절치 않다는 입장이다.

이 같은 주장과 대안은 이미 여러 차례 나와 색다른 것은 없지만 약사들의 절박한 심정을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당국은 이들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약사회가 반대를 해도 오래지 않아 편의점 약에 대한 발표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약의 오남용과 부작용을 전가의 보도로 내세우는 약사회의 방어논리가 국민 편의를 압도할 지 아니면 아픈데 갈 곳이 없어 헤매는 국민들의 건강을 지키는데 편의점이 구세주로 등장할 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한다.

그에 앞서 약사들은 약사가 아닌 종업원이 약을 판매하거나 심지어 조제한다는 상당한 의심을 해소했는지, 오남용이 우려 된다면서 당연히 해야 할 의무인 복약지도는 제대로 하고 강요에 가까운 권매는 없는지 반성하는 시간도 가져야 한다.

말로는 국민의 건강이 지고지선이며 최고의 가치인 것처럼 하지만 실제로는 아닌지는 약사들이 아닌 국민들이 판단하기 때문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