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3:53 (금)
분업 예외지역 약국들, 보따리 싼다
상태바
분업 예외지역 약국들, 보따리 싼다
  • 의약뉴스
  • 승인 2005.05.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분업 이후 34.6% '폐업'…영업부진탓
의약분업 예외지역 약국 3곳당 1곳꼴로 보따리를 싼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2000년 의약분업 이후 임의조제(5일분)를 할 수 있다는 이점 때문에 예외지역을 선호하던 약사들이 이제는 스스로 경영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는 것.

최근 복지부가 열린우리당 이기우 의원(보건복지위)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이후 의약분업 예외지역 약국등록수는 총 602개소에서 올해 4월에는 394개소로 5년간 208개소(34.6%)나 지정이 취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의약품 수요가 적다는 구조적 이유와 이로 인한 영업부진으로 자진폐업하거나 장소를 이전한 비율이 48.1%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지정이 취소된 약국 208개소 가운데 86곳이 영업부진으로 자진폐업을 했고, 장소를 이전한 약국도 14곳에 이르렀다.

여기에 개인사정으로 폐업한 경우(25곳)까지 더하면 그 비율은 더욱 높아진다.

또 동일 지역에 의료기관이 들어섬에 따라 지정취소된 경우도 55곳에 달했으며, 의약분업 예외지역이 해제돼 지정이 취소된 곳은 9곳이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의약분업 예외지역 약국의 '지정취소 및 폐업'이 가장 많은 곳은 경기도로 171곳에서 45곳이 줄었고, 경북은 93곳에서 42곳이 감소했다.

강원도는 99곳에서 33곳이, 충남은 62곳에서 31곳이, 전남은 31곳에서 24곳이 문을 닫거나 다른 장소로 이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분업 예외지역 약국인 충북의 M약국은 17일 "의약품 수요가 적어 약국 문을 닫고 여기저기 옮겨다니는 경우들이 있다"면서 "장사가 잘 된다면 굳이 그럴 이유가 없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또 다른 분업 예외지역 약국도 "지역에 따라 수입이 천차만별"이라며 "우리의 경우 아직까지는 자진폐업을 할 정도는 아니지만, 경기불황이라는 사정은 마찬가지"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복지부 관계자는 "예외지역의 경우 지역민이 많지 않아 구조적으로 의약품 수요가 적을 수밖에 없다"면서 "임의조제라는 메리트가 있긴 하지만, 약국들이 기대치만큼의 수익을 올리지 못해 더 나은 곳으로 이전하는 사례가 많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초창기 일부 젊은 약사들이 고수익을 노리고 예외지역에 뛰어들었지만 요즘엔 다시 빠져나가고 있는 상황"이라면서 "주된 이유 중의 하나는 영업불황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의약뉴스 홍대업 기자(hongup7@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