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6 23:24 (금)
[기자수첩] KRPIA, 이제는 투명성 고민할 때
상태바
[기자수첩] KRPIA, 이제는 투명성 고민할 때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16.12.20 06: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다국적의약산업협회(KRPIA)가 강남 시대를 청산하고 서울역 앞에 새 둥지를 튼 지 오늘로 100일이 됐다.

1999년 24개 연구중심 제약사들이 모여 출범한 KRPIA는 2000년 사단법인으로 허가를 받아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해 오늘에 이르렀다.

의약분업이라는 대변화와 함께 출범한 KRPIA는 선별등재제도와 기등재의약품 목록정비, 리베이트-약가연동제, 리베이트 쌍벌제, 일괄약가인하 등 제약업의 변화를 요구하는 다양한 정책들이 쉴 틈 없이 쏟아지는 동안 국내의 정책 동향을 회원사들에 전달하고 회원사의 목소리를 정부에 전달하는 중개자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 사이 국내에 진출한 다국적제약사들은 하나둘 공장을 정리하는 대신 ‘연구중심’이라는 타이틀을 앞세우기 시작했고, 때맞춰 신약개발을 독려하기 위해 쏟아낸 정부의 정책들은 KRPIA의 이러한 변화에 힘을 실어줬다.

몇 년 전, 기자간담회에서 “신약개발 관련 정책의 카운터 파트로서 위상은 한국제약협회보다 앞선다”고 자평했을 만큼, 지난 16년간 KRPIA의 위상은 크게 향상됐다.

높아진 위상에 따라 KRPIA의 외형도 크게 확대됐다. 출범 당시 24개사였던 KRPIA의 회원사 수는 최근 41개사로 2배 가까이 증가했고, 이는 좁은 강남 사무실에서 벗어나 서울역 앞에 새로운 터를 마련하게 된 배경이 됐다.

그만큼 KRPIA의 책임도 커졌다. 특히 협회와 회원사의 투명성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실제로 지난 국정감사에서 국회는 다국적 제약사의 CEO들을 증으로 불러세웠고, 최근에는 행정조사까지 요구하며 다국적제약사들의 투명한 회계처리를 주문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새시대를 연 KRPIA는 이러한 변화에 다소 소극적인 모습이다. 여전히 KRPIA의 최대 현안은 약가제도에 쏠려 있고, 눈앞에 다가온 행정조사의 범위를 조율하는데 집중됐다.

서울역 시대에 맞춰 마련된 ‘다국적 제약사 출입기자 모임’과의 상견례에서 KRPIA가 새해에 준비하고 있는 변화를 물었지만, 돌아온 답은 시원스럽지 못했다

올 한 해 업계의 가장 큰 이슈였던 노바티스 리베이트 사건이나 김영란 법과 관련한 협회차원의 대응방안에도 뚜렷한 답을 얻을 수는 없었다.

그나마 그간 비공개로 진행되던 총회의 공개 전환 여부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해보겠다는 답을 얻었지만, 그나마도 짧은 준비기간을 이유로 내달(1월)로 예정된 총회를 공개로 전환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란 단서가 달렸다.

총회는 지난 한 해 회원사들이 지출한 회비의 사용 내역을 공개하고, 그에 따라 협회가 진행한 사업의 성패를 평가하며, 다시 새해의 사업계획을 회원들에게 알리는 중요한 자리인 만큼 투명한 회무를 위해 공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KRPIA는 물론 공개를 요구해야 할 회원사나 회원사 직원들의 무관심 속에 출범 이후 지금까지 간단한 보고서 하나 공개되지 않고 구두발표로 진행되어 온 것이 현실이다.

새 부대를 먼저 마련했다면, 이제 새 술을 담아야 할 차례다. 변화는 투명한 회무 공개가 우선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