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19 17:22 (금)
보건의료 빅데이터 엄격하게 관리해야
상태바
보건의료 빅데이터 엄격하게 관리해야
  • 의약뉴스
  • 승인 2016.11.26 14: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의 확보는 현대 과학에서 필수적이다. 축적된 자료가 많으면 많을수록 효용가치는 높아지고 결과의 신뢰도는 상승한다.

보건의료분야도 마찬가지다. 아니 오히려 다른 어떤 분야보다도 빅 데이터의 확보는 중요하다. 활용가치가 실로 무한하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보건의료 빅 데이터 활용 사례 및 방향제시’를 주제로 포럼을 열어 관심이 집중됐다.

주최한 쪽이 빅 데이터를 확보한 곳이어서 더욱 주목을 끌었다. 이를 반증하듯 연자인 심사평가연구소 이윤태 소장은 보건의료 빅 데이터 활용에 대한 산·학·연·병의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빅 데이터의 활용이 보건의료분야 전반에 혁신을 가져다 온다는 것이다. 일부도 아니고 전부분에서 그것도 부분 변화가 아닌 혁신을 가져온다고 강조한 것은 자료의 가치가 얼마나 큰 지 단정적으로 말해준다.

서울대병원 김주한 교수는 자료를 이용한 구체적인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는 국민건강보험 가입자 중 47.4%가 ‘유전형에 따라 반응이 달라지는 약물(PG drug)’을 처방 받았으며, 31.9%는 심각한 부작용을 갖고 있는 PG drug를 처방 받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같은 연구결과는 질병치료의 선제적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말 그대로 의료에 일대 혁신을 가져 올 수 있는 중대한 결과물이다.

다변이 유전형검사를 하면 1년에 729명, 전 국민으로 환산하면 최소한 연 2만 4300명의 환자에서 입원이나 처치가 필요한 정도의 심각한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

예측이긴 하지만 실로 놀라운 내용이 아닐 수 없다. 김교수는 부작용에 따른 치료비를 1인당 400만원으로 계산했을 때 연간 1000억 원 정도의 의료비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심사평가원 권의정 부연구위원은 한 발 더 앞서 나갔다. 심평원의 빅 데이터로 한국형 질병을 미리 감시하고 예측하는 시스템 개발이 가능하다고 주장한 것이다.

주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올해부터 DUR(의약품처방·조제지원서비스) 정보를 이용해 실시간 질병 감시·예측 서비스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청구 자료를 통한 질병예측 사업을 했지만 이는 요양기관에서 청구하기 전에는 확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빅 데이터로 질병 예측이 가능해 지면 발병 가능한 잠재적 질병을 미리 예방할 수 있다. 이는 국민건강을 보호하고 의료자원, 보험재정의 효율적 분배 등 실로 엄청난 파급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것이다.

의료분야·금융분야 데이터제공 회사인 라인웍스 조용현 대표는 “보건의료 빅 데이터 개방시스템에서 공개·제공 중인 환자 데이터셋은 전 국민 질병분포에 대한 대표성을 띄며 매우 가치 있는 데이터”라고 인정했다.

그는 “신약 개발, 감염 역학 조사, 보건 정책 수립 등 다양한 분야에서 빅 데이터가 사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보건의료 빅데이터는 “데이터가 너무 많고, 무슨 내용을 담고 있는지 알 수가 없어 아직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처럼 중요한 빅 데이터는 매우 필요하고 그 가치가 높은 만큼 사용에 신중함도 요구되고 있다. 민감한 환자의 자료가 연구외의 다른 목적으로 유출돼 심각한 피해를 가져올 수 도 있기 때문이다. (약사회 산하 약학정보원의 자료 유출로 책임자들이 무건운 처벌을 받은 것을 타산지석으로 삼아야 한다.)

자료의 활용은 잘 쓰면 약이고 관리를 잘 못하면 독이 될 수 있다. 건강보험공단이나 심평원에 보관된 그야말로 환자의 빅 데이터는 안전하게 보관되면서 연구 목적 이외에 상업적인 이유로 사용되는 것은 엄격히 금지돼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