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보건복지부 김주영 과장.
보건복지부 보건산업진흥과 김주영 과장은 24일 나인트리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6 혁신형 제약기업 성과보고회’에서 내년도 제약산업 육성·지원 정책방향을 설명했다.
김주영 과장의 설명에 따르면 내년도 제약산업 지원 정책은 크게 R&D와 세제지원, 약가 지원, 규제완화 네 가지로 구분된다.
첨단·차세대 의약품 R&D에 대해 기초연구의 성과 상용화를 지원하는 동시에 신약 및 미래유망분야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고, 글로벌 백신 개발 펀드를 조성하는 등의 지원이 예정돼있다.
세제 혜택에 있어서는 내년부터 화학의약품에 대해 임상3상 비용까지 세제혜택 지원 대상으로 포함시키게 된다.
바이오의약품은 지금까지 후보물질 도출까지만 세제 지원이 이뤄졌지만 내년부터는 임상1상부터 3상까지 한꺼번에 세제 지원 대상으로 포함시킬 방침이다.
약가에 대해서도 제약사들의 신약 개발 노력이 헛되지 않고 반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입장으로, 지속적으로 업계의 의견을 확인해 도움을 주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신약 개발 및 허가 과정과 관련된 규제 등에 대해 불필요하거나 불편한 부분에 대해 건의를 받아 복지부가 나서서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의하는 등 완화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복지부의 이 같은 지원 정책에 대해 업계에서는 대체로 환영하는 입장을 보이면서도 일부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혁신형 제약기업 협의체 회장인 비씨월드제약 홍성한 대표는 “복지부나 진흥원이 이렇게 많이 노력함에도 불구하고 기재부나 산자부, 식약처, 미래부 등 다른 정부기관에서는 이 자리에 한 명도 참석하지 않았다”면서 “혁신형 제약기업은 복지부장관이 지정했지만, 실제로는 정부에서 한 것이다. 범 정부차원에서 지원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혁신형 제약기업 인증 취소와 관련해 “실수를 합리화하자는 것은 절대 아니다”라면서도 “인증 취소에 대해서도 약간의 융통성이나 다른 부처와의 형평성을 고려해 수정·보완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