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3:53 (금)
LG생명과학ㆍ종근당, 대형품목 실적 호조
상태바
LG생명과학ㆍ종근당, 대형품목 실적 호조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16.11.09 06: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구 조화....유한양행, 스트리빌드 강세

3분기에 들어서 상위제약사들의 대형 품목 실적에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LG생명과학과 종근당 등은 신구 제품의 조화 속에 강세가 이어진 반면, 대웅제약과 동아에스티 등은 다소 고전하는 모습이다.

이 가운데 LG생명과학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는 이브아르와 제미글로는 여전히 맹위를 떨치고 있었다.

최근 발표된 주요 상위제약사들에 대한 보고서에 따르면, LG생명과학의 이브아르는 지난 3분기 143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전년 동기대비 36.2% 성장했다.

나아가 국산 신약 최초의 DPP-4억제제 제미글로는 같은 기간 112.5% 급증한 136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이브아르와 함께 분기 150억선에 다가섰다.

여기에 더해 유트로핀도 113억원으로 18.9% 성장하며 100억대에 올라섰고, 부스틴과 유박스, 에스포젠 등도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달성했다.

종근당은 자누비아와 바이토린, 아토젯 등 주요 도입품목들이 400억에 가까운 신규 매출을 이끈 가운데 타크로벨이 50%가 넘는 성장률로 100억대에 다가섰고, 텔미누보와 이모튼, 프리그렐, 듀비에 등도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외에도 기존 품목 중 딜라트렌과 리피로우가 분기 100억대의 매출을 기록하며 힘을 보탰다.

 

유한양행은 최대 도입품목인 비리어드가 여전히 두 자릿수의 성장률을 유지한 가운데 스트리빌드가 50%에 가까운 성장률로 70억대에 올라섰고, 코푸시럽도 60%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다만, 비리어드와 함께 유한양행의 전성시대를 이끌고 있는 트라젠타와 트윈스타의 성장폭은 5% 내외로 하락했다.

상대적으로 대웅제약과 동아에스티는 대형품목들이 다소 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대웅제약은 최대품목인 알비스와 우루사가 여전히 분기 150억대의 매출을 기록했지만 성장폭은 2~3% 내외에 그쳤다.

한때 대웅제약의 최대품목이었던 올메텍의 매출액은 20%이상 급감했고, 세비카와 넥시움 등 100억대를 기록하던 품목들도 역성장했다.

그러나 새로 도입한 크레스토가 150억대의 신규 매출을 이끌었고, 다이아벡스와 엘도스 등이 두 자릿수의 성장률로 힘을 보탰다.

동아에스티는 최대품목인 스티렌과 플라비톨, 리피논의 매출액의 역성장폭에 20~30%대에 이르렀고, 그로트로핀과 오로디핀도 두 자릿수의 역성장률을 기록했다.

그럼에도 타리온은 20%가 넘는 성장률을 기록했고, 아셀렉스와 슈가논이 10억대의 신규 매출을 이끌어 부진을 다소 만회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