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7:24 (금)
제약산업 종사자, 전년 대비 4.9% 증가
상태바
제약산업 종사자, 전년 대비 4.9% 증가
  • 의약뉴스 김창원 기자
  • 승인 2016.10.19 12: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만 1000명…30인 미만 사업장 확대

제약산업에 종사하는 인원이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한국고용정보원이 발간한 ‘보건산업 고용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분기 의약품 분야 종사자 수는 총 6만1000명으로 전년 동기 5만8000명 대비 4.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사자들의 성별 구성은 남성이 69.1%, 여성이 30.9%를 차지했다. 지난 2010년 남성 비중이 71.5%였으나 2015년에는 69.7%로 줄었고, 지난 2분기에 다시 줄어든 것이다.

연령별로는 30~39세가 41.4%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으며, 20~29세 연령대 비중은 28.0%로 2010년 32.8% 대비 크게 줄어들었다.

 

반면 40~49세 연령대는 2010년 16.9%에서 2016년 2분기에는 20.6%로 늘어나 제약산업에서도 고령화 추세가 나타났다.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사업장에 종사하는 인력이 56.0%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지만, 전체 600여 곳의 사업장 중 29인 이하 사업장이 절반 이상인 56.0%로 조사됐다.

29인 이하 사업장 비중은 2010년 57.3%에서 2015년 54.6%로 줄어들었으나 지난 2분기에는 다시 늘어난 수치를 기록했다.

30인 이상 300인 미만 사업장 비중은 2010년 38.6%에서 2015년 41.6%로 다소 증가했으나 2016년 2분기에는 40.2%로 줄어들어 29인 이하 사업장 비중과 반대되는 추세를 보였다.

보고서는 올 하반기 고용 규모가 지난해 하반기 대비 3.9%(약 2000명) 가량 증가해 고용증가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100인 이하 사업장은 고용이 감소하고 300인 이상 사업장의 고용이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보고서는 R&D 투자 증가에 따른 투자심리 위축을 예상하기도 했다.

최근 우리나라 제약산업은 국내시장의 포화로 인해 해외로 수출 판로를 개척하는 추세로, 이에 따라 글로벌 제약사와 경쟁을 위해 R&D 투자를 늘리고 있다.

R&D 역량이 제약사의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잡으면서 제약사들의 R&D 투자 증가세가 뚜렷해지면서 신약 개발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

그러나 단기적으로 보면 늘어난 연구개발비로 인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따라서 국내 제약업체의 투자심리도 위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