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오피드(대표이사 정낙범) 는 일본, 중국과 동북아 지역의 기술 분야 협력을 위해 개최한 제6회 동북아 산업기술 포럼에 참가하여 주제 발표를 했다.
강원도와 일본의 돗토리현, 중국의 지린성 등 3개 지자체가 공동으로 주체하는 동북아 산업기술 포럼은 9월 4일부터 9월 6일까지 3일간 일본 돗토리현 컨벤션센터에서 개최했으며, 산업기술 포럼, 산업기술 교류협력 및 비즈니스 파트너링 행사를 진행했다.
강원도에서는 강원테크노파크 주관 하에 강원도 전략산업과와 강원도 기업인 ㈜바이오피드, ㈜애드바이오텍, ㈜웰빙엘에스, ㈜바이오토피아 등 4개 기업이 함께 참여했다.
동북아 산업기술 포럼에서 ㈜바이오피드의 최성현 연구소장은 “기존의 아토피 질환은 면역질환으로 이해돼, 치료제 개발 시 과활성화된 면역활성을 낮춰 증상을 완화하는데 중점을 뒀고, 이를 위해 만성염증에 관여하는 Th2 세포(Helper T cell, 도움T세포) 활성 억제에 주목했다”면서 “그러나 왜 Th2 세포 활성이 과다 증가하는지, 면역체계가 어떤 이유로 과활성화되는지를 이해하려는 노력이 부족했다. 때문에 기존의 아토피 치료제인 프로토픽(아스트라), 엘리델(노바티스)은 Th2세포 활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지만, 아토피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는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에 반해 ㈜바이오피드의 새로운 접근은 동물의 폐에서 추출한 이중포화 인지질를 활용, 지방 대사를 안정화해 아토피 피부염의 주요 원인 물질을 억제함으로 근본적인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이중포화인지질은 구체적으로 물과 친해 축적되는 것이 아니라 녹은 형태로 존재해 세포막 지방성분으로 빠르게 재구성 될 수 있으며, ‘단단한’ 구조를 갖고 있어 느슨한 세포막을 회복시킴으로서 면역원인의 물질인 단백질의 삼출을 막을 수 있어 원인 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새로운 접근으로 아토피를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음을 강조하였고 포럼에 참가한 중국, 일본의 기업체들로부터 집중 조명을 받았다. 특히 돗토리현의 상공노동부 경제산업진흥감이 대단한 관심을 보였다.
동북아 산업기술 포럼에 함께 참가했던 이민석 사업개발본부장은 “산업기술 포럼을 통하여 외국기업에게 기술을 이해시키고, 네트워킹을 통해 기술 교류하는 것은 향후 글로벌 기술이전을 위한 초석이 될 것”이라며 글로벌 진출에 대한 자신감을 보이고 있다.
한편 동북아 산업기술 포럼은 2008년 10월에 동북아 지역의 첨단 산업기술 분야 협력을 위해 산업기술교류 협정을 체결하고 산업기술 포럼 개최, 산업 기술 파트너링 등 실질적인 상호교류를 위해 한국, 중국, 일본에서 매년 개최하는 행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