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기영 보좌관, 제약협회 CEO 조찬 강연서 언급

이는 한국제약협회(회장 김정수)가 22일 개최한 CEO 조찬강연회에서 청와대 박기영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의 강연을 통해 드러났다.
박 보좌관은 "산업적 관점에서 의료는 고부가가치산업이다"며 "그동안 3개 의료분야는 산업간 연관관계가 미약했으나 향후 상호 시너지를 내면서 발전하도록 육성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3개 의료분야의 선진국 대비 경쟁력은 의료서비스가 76%, 제약이 50~60%, 의료기기가 53% 수준이다.
의료서비스의 역량과 경험 지식 등이 제약, 의료기기 분야에 인풋 돼서 경쟁력을 높이면 제약, 의료기기 분야의 무역역조 현상을 해소하고, 의료서비스는 수출산업으로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박 보좌관은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인 제약산업은 투자 위험이 높고, 오랜 기간 투자해야 하는 산업적 특성을 감안해 공공부문에서 지원이 필요하다"며 "프로젝트 파이낸싱인 임상시험펀드와 엔젤투자를 제안 중"이라고 언급했다.
특히 공공부문에서의 지원은 인허가전문인력 확보, 인허가기준평가체계 확충, 임상시험기관 유치 등 임상시험인프라에 초점을 맞출 방침이며 위험부담을 덜기 위해 임상시험용의약품제조시설 등 공동으로 활용이 가능한 시설인프라 등을 비롯한 육성방안을 제시하면 적극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또한 “의료분야의 육성은 현재 정책연구 단계이기 때문에 어떻게 정책화하는가 하는 문제는 국무조정실 국민건강TF팀, 복지부, 과기부, 산자부 등 관련 부처간 준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의약뉴스 김은주 기자 (snicky@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