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0:20 (금)
반품사업 시행 초기부터 '난관'
상태바
반품사업 시행 초기부터 '난관'
  • 의약뉴스
  • 승인 2005.03.18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매 '제약사 눈치'ㆍ약국 '협조미비' 속앓이
대한약사회(회장 원희목)가 중점사업으로 추진중인 재고약 반품사업이 시행초기부터 난관에 봉착했다.

이는 대약이 지난해와는 달리 올해부터 반품사업을 제약사 및 도매상이 직접 약국에서 수거하는 방식으로 진행키로 함에 따라 약국과 제약ㆍ도매사 간 반품협의체를 구성하는 단계에서 문제가 불거진 것.

회원들은 17일 제약ㆍ도매사들이 반품협조 공문을 지역별로 전달받지 못했다거나, 아예 도매사들은 반품협의체 구성을 꺼려하는 등 시행초기부터 제대로 진행이 어렵게 되면서 약사회가 해결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서울시약사회(회장 권태정)는 회원들의 불만이 제기되자 제약협회와 도매협회에 공문을 보내 반품사업에 협조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하고 있는 상태지만, 문제 해결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우선 도매사의 경우 제약사 가운데 협조사와 비 협조사의 분류작업이 완벽하게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이 반품사업을 어렵게 한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이와 함께 대다수 외자사가 반품사업에 불참하면서 더욱이 반품사업을 불투명하게 하는 요인이라는 점과 직거래가 아닌 약품은 반품을 받고도 제약사가 이를 받아주지 않을 경우 발생하는 손실을 생각하면 섣불리 결정할 수 없는 입장이라는 주장이다.

한 도매사 관계자는 "지난해는 분회에 재고약을 집결시켜 제약사와 도매사가 직접 수거하는 방식으로 진행했음에도 완벽하게 마무리되지 못했다"면서 "도매업계도 분명 인원이 한정돼 있어 모든 약국과 일대 일로 반품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무리임을 약사회도 알고있을 것"이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그는 이어 "현재 대약과 제약사간 반품사업의 협조여부가 완벽하게 마무리되지 않은 상황에서 무리수를 둘 수 없다"라며 "만약 제약사에 반품이 안될 경우 수 천만원의 피해액이 발생하는 데 신중을 기해야 하지 않겠냐"고 덧붙였다.

서울시약사회 관계자는 "대약은 올해 제약사 및 도매사의 반품사업 리스트를 회원들에게 씨디로 제작해서 배포했다"면서 "지난해 분회에서 반품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인력부족 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서울시지역의 제약ㆍ도매협회에 공문을 발송해 반품사업을 독려했다"라며 "협의단계이기 때문에 반품사업에는 별 차질이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