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위스 제약회사 로슈는 지난해 고정환율 기준 전체 매출액이 주로 미국에서의 의약품 매출과 면역진단 제품에 대한 높은 수요 덕분에 시장 전망치인 479억7000만 스위스 프랑을 상회하는 481억5000만 프랑으로 5%가량 증가했다는 내용이 담긴 2015년 재무성과를 발표했다.
로슈의 고정환율 기준 순이익은 90억6000만 달러로 4% 올랐지만 환율을 고려할 경우 스위스중앙은행이 최저환율제를 포기함에 따라 발생한 부정적인 환율 영향 때문에 5% 하락했다.
로슈가 2014년에 필그라스팀에 관한 권리를 매각하면서 획득한 일회성 수익 4억2800만 프랑을 제외한 핵심영업이익은 고정환율 기준으로 7% 증가했다.
같은 기준으로 핵심주당순이익은 7% 늘어난 13.49프랑을 기록했다. 앞서 시장분석가들은 14.10프랑의 주당순이익을 예상했었다.
제약사업부의 매출액은 전년대비 5% 오른 373억 프랑을 기록했다. 이러한 성장세는 HER2 의약품들과 작년 매출액이 66억8000만 프랑으로 7% 증가한 아바스틴(Avastin) 같은 항암제 포트폴리오가 주도했다.
면역학 분야 매출액은 특발성 폐섬유화증에 대한 신약 에스브리엣(Esbriet)의 탄탄한 시장 내 입지와 14억3000만 프랑으로 매출이 전년대비 23% 증가한 악템라/로악템라(Actemra/RoActemra), 12억8000만 프랑으로 매출이 25% 오른 졸레어(Xolair) 덕분에 2014년보다 24%가량 늘어났다.
페가시스(Pegasys)의 매출액은 차세대 치료제와의 경쟁으로 인해 하락했으며 발싸이트/싸이메빈(Valcyte/Cymevene)과 젤로다(Xeloda)는 제네릭 경쟁에 직면했다.
로슈는 모든 지역에서 매출 성장을 경험해 미국과 유럽에서는 매출이 각각 6%와 4%, 프랑스와 중국 같은 주요 시장에서는 매출이 10%와 4% 증가했다. 진단사업 매출액도 108억 프랑으로 6%가량 늘었다.
올해 로슈의 전체 매출액은 고정환율 기준으로 한 자릿수 초반에서 중반대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이며 핵심주당이익은 매출액보다 더 크게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