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6 06:02 (금)
포괄간호서비스 병동 확대 바람직하다
상태바
포괄간호서비스 병동 확대 바람직하다
  • 의약뉴스
  • 승인 2015.11.06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호자 없는 병원'을 표방하는 포괄간호서비스가 확대되고 있다.

의학이나 의료수준에 비해 간호 수준이 열악해 제대로 된 간호를 받지 못하던 환자와 가족들에게는 매우 반가운 소식이다.

24시간 입원병상에 간호사가 머무르는 이 제도는 질 높은 간호서비스로 환자의 빠른 쾌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정부는 시범사업을 통해 나타난 문제점들을 보완해 포괄간호서비스 제공기관을 총 102개로 확대 지정한다고 최근 발표했다.

발표에 앞서 복지부 방문규 차관은 이미 이 제도를 시행중인 일산병원을 방문해 “정부는 4대 중증에 대한 보장성 강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앞으로도 꾸준한 협의를 통해 포괄간호서비스가 확대 제공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확대 발표는 이 같은 분위기를 통해 자연스럽게 나왔다. 정부는 지난 6월 1일부터 관련 수가를 약 40%로 대폭 인상하는가 하면 간호인력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야간전담 간호사 고용 시 수가를 가산 적용키로 하는 등 준비에 박차를 가해왔다.

또 지난 9월부터는 포괄간호서비스에 참여하는 의료기관에 대해 시설 개선비를 지원(추경 50억 원)하고 유휴 간호인력 채용 활성화를 위해 간호인력 취업 지원 사업을 펼치왔다. 그

러나 아직도 갈 길은 먼다.

무엇보다 부족한 간호인력 확충이 시급하다. 이른바 '장롱면허'를 가지고 있는 유휴 간호사를 현장으로 돌아올 수 있게 하는 유인책이 절실하다.

추경을 통한 간호사 재취업지원센터 계획을 마련하는데 그쳐서는 안 되고 즉시 시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런 가운데 포괄간호서비스는 나름대로 정착의 단계를 밟아 가고 있다.

참여 기관이 2013년 13개에서 지난해 28개로 증가했으며, 5일부터는 102개 기관으로 대폭 증가했다. 이에 따라 환자와 환자 보호자는 간병에 따른 부담을 덜게 됐으며 양질의 간호 서비스를 받게 됐다.

사실 이 제도는 말은 무성했으나 탄력을 받지 못했다. 그러던 것이 지난 메르스 집단 발병으로 인해 후진적인 병실문화가 지적됐고 그에 따른 여론의 질타가 이어졌다.

그동안 우리는 환자가 입원하면 환자 가족 중 한명이 환자 병실 침대 아래에 있는 간이 침대를 옆으로 빼내 그곳에서 잠자리를 해결하면서 간호를 해왔다.

이후 간병인 제도가 폭넓게 확산됐는데 간병비 문제가 대두됐다. 또 간병인은 관련 교육을 받는다고 해도 아무래도 간호사에 비해 전문 인력이라고 할 수 없어 효과적인 간호서비스를 받는데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정부의 제도 확대는 매우 바람직하고 칭찬할 만한 일이다.

문제는 어디서나 마찬가지만 비용이다. 방문규 차관이 밝힌 바에 따르면 400병상 규모의 병원이 포괄간호서비스로 전환되면 약 4400억 원의 재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도 제도가 아무리 좋아도 무한정 늘릴 수 있는 상황은 아니라는 사실을 잘 알고 있다. 그러나 가급적 모든 여건을 동원해 일반병동이 포괄간호병동으로 전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게 정부의 입장인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정부의 이런 노력에 맞춰 병원들도 적극 동참을 서두르고 있다. 포괄간호서비스 병동을 확보하지 못한 병원은 경쟁에서 뒤쳐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간호사의 들의 만족도도 매우 높게 나타나고 있다. 간호사 한 사람당 보통 15~20명의 환자를 보는데 포괄간호병동에서는 8명을 정도를 담당하고 있어 양질의 서비스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포괄간호서비스 확대는 소리만 요란한 빈수레로 그쳐서는 안된다. 착실히 준비하고 드러난 문제점을 해소하면서 제도 정착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 그래야 제 2의 메리스 사태를 막을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