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5-04 06:13 (토)
달빛어린이병원 확대와 우려 사이
상태바
달빛어린이병원 확대와 우려 사이
  • 의약뉴스
  • 승인 2015.05.13 09: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누가 지었는지 이름이 참 근사하다. ‘달빛’이라고 한 것을 보면 시간상으로는 낮이 아닌 저녁이다.

'어린이'라고 한 것을 보면 대상이 어른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병원은 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될 터이다. 달빛어린이병원(이하 달빛), 아무리 생각해도 이름만큼은 작명가를 높이 칭찬해줘야 할 듯싶다.

그 이름값만큼이나 내용도 충실한지는 좀 더 두고 봐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여론이 호의적인 것을 보면 연착륙을 넘어 아예 어린이나 부모에게 인기 있는 장수병원의 모델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커 보인다.

그런데 이 아름다운 '달빛'을 못마땅해 하는 그룹이 있다. 한 곳이 잘 되면 다른 곳은 어렵다는 만고불변의 법칙이 ‘달빛’에도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경영난을 겪고 있다고 알려진 소아청소년과는 '달빛'을 사시로 보고 있다. 이들에게 ‘달빛’은 애초에 태어나서는 안되는 병원이었다.

그렇지 않아도 신생아 수도 줄고 있어 미래 경영은 물론 현재도 어려움을 큰데 '달빛'까지 가세했으니 뒤틀어진 그 심사를 충분히 이해할만 하다.

그런데 여기에 복지부가 기름을 붓고 있다. 야간과 휴일 저녁에 문을 여는 '달빛'을 현행 9개소에서 15개소로 늘리려고 하고 있기 때문이다.

일년 365일 밤 11~12시까지 휴일에도 최소 저녁 6섯시 까지 운영하는 소아과병원이 늘어나니 경쟁자들이 달가워할 이는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번에 새로 도입되는 곳은 인천 계양, 경기 용인, 충남 서산, 경북 포항, 경남 양산, 부산 동구 등 6개소다.

복지부는 추가된 지역의 여론이 좋으면 다른 곳도 더 늘려 올해에만 목표치 20개소를 달성한다는 것.

이를 위해 공모를 계속하고 참여를 희망하는 병의원은 지자체와 협의해 2차 공모 마감일인 사업계획서를 제출해야 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소청과를 회원으로 두고 있는 대한의사협회가 나섰다. 의협은 지난 12일 관련 단체들과 함께 '달빛'에 대한 대책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는 지난달 개최된 의협 정기대의원총회에서 '달빛'에 대한 대책을 의협 집행부에 일임했기 때문이다.

의협은 회의에서 '달빛'에 대한 기존의 반대 입장을 고수하면서 복지부를 만나 큰 틀에서 논의를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또 '달빛'에 참여하는 소청과 전문의들이 오너가 아닌 경우에는 소청과의사회만으로는 대책에 한계가 있다고 판단해 의협과 시도의사회가 함께 대응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소아청소년과개원의사회( 회장 김재윤)는 “소아경증환자의 응급실 집중현상을 줄이려는 운영취지는 공감하지만 자칫하면 소아청소년과의원의 몰락을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나아가 이는 소청과만의 문제로 국한하지 않고 중소병원 응급실도 피해를 볼 수 있는 제도라며 제도의 취지는 좋지만 주위 개원가에 피해를 주지 않는 윈-윈 방법을 찾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우리는 국민건강을 생각하는 정부의 달빛 확대 정책에 대해 크게 반대하지 않는다. 응급 어린이가 발생했을 경우 '달빛'을 통해 빠른 시간 내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것에 대해 오히려 찬성하는 입장이다.

기존의 병원 응급실 운영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거나 중소 도시의 경우 그나마저 운영이 안되는 곳이 많아 퇴근 후 어린이 환자들이 겪는 고통은 심히 컸다는 것을 감안하면 정부의 정책이 뒤늦은 감이 없지 않다.

복지부도 이런 상황을 감안해 '달빛'에 더욱 신경을 쓰고 앞으로 확대 계획을 계속 추진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상황이니 의협이나 소청과는 반대를 하면서도 여론의 질타를 두려워해 신중한 행보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응급환자를 치료한다는데 반대할 수 있는 명분이 약하거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우리는 '달빛'의 확대가 어려운 개원가의 경영을 더욱 어렵게 할 수 있는 일말의 소지는 있다고 본다. 따라서 1차 의료기관인 의원도 만족시키고 '달빛'도 만족하는 그야말로 상생의 방법을 찾아야한다고 의-정에 주문하고 싶다.

의-정이 머리를 맞대고 수시로 회의를 열어 결론에 도달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돈주고 야간진료를 유도하는 이상한 정책이라는 비판을 소청과의 밥그릇 지키기로 매도해서도 안되고 특히 응급의료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을 폄하해서도 안된다는 것이 우리의 판단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