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갈수록 서구화되는 식습관으로 대장암의 발병률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최근 한 대학병원은 우리나라가 대장암 발병률 세계 1위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장암은 암질환 사망률 중 4번째높으며, 50세 이상의 나이, 가족력, 복부비만을 동반한 과체중, 흡연, 폭음은 대장암의 발병률을 높인다.
대장암은 용종의 발생으로 시작하게 되는데 이러한 용종 가운데 선종은 대장암을 유발하게 된다.우리 몸에는 정상 점막에서 선종을 거쳐 대장암으로 발전하는 각각의 단계마다 이를 억제하는 기전이 있으나 유전적 요인 혹은 좋지 않은 생활 습관 등으로 인하여 억제하는 유전자의 변이가 일어나게 되면 대장암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정상 점막이 바로 암이 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용종 단계에서 이를 발견하여 제거하면 암을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대장내시경은 이 선종을 발견하여 암 발생 전에 제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요즘에는 일반인도 의학적 지식을 접할 기회가 많아 대장내시경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잘 알고 있으나 대장내시경 전처치가 힘들고 통증이 무서워 실제 정기적으로 이를 시행하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시경 시행 전날 저녁부터 장 청소를 위하여 하제를 복용하는데 비릿한 맛과 오심 증상으로 검사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으며 다량의 물을 함께 복용해야 하는데 이것도 검사를 포기하게 하는 이유가 된다.
그러나 최근에는 비릿한 맛을 개선시킨 하제도 많고 함께 마시는 물의 양도 줄인 제제가 있으며 알약제제의 하제도 있어 이러한 제제의 사용을 고려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또한 숙련된 검사자라면 통증을 많이 느끼지 않도록 검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최근에 전반적인 내시경 의사들의 검사 기술이 좋아져 이전과 달리 편안한 검사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반면 대변 잠혈 검사만으로 대장암을 조기 진단하여 치료하겠다는 생각을 하는 환자들이 있는데 이는바람직하지 않다.
대변 잠혈 검사는 대변에 출혈성분이 검출되면 양성 판정을 하는데 용종은 대부분 출혈이 생기지 않으며 암도 초기에는 출혈을 유발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또한 잠혈 양성이라도 치핵과 같은 항문질환이 그 원인인 경우도 많아 대장내시경을 통해 더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대장내시경은 암 이외에 복통, 설사 및 혈변 등의 증상이 발생하는 궤양성 대장염이나 결핵성 대장염, 크론병 등과 같은 만성염증성 장 질환의 진단에도 도움이 된다.
따라서 대장암예방과 장 질환의 진단을 위해30, 40대에서 용종 제거 등을 목적으로 대장내시경을 시행하는 것이 효과적이지만 최소한 50세 이상의 경우나 그 이하라도 가족력이 있다면 대장내시경을 3-5년 간격으로는 시행하는 것이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자료제공: 참튼튼병원 구로지점 내과 박찬익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