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적십자사 이총재는 전반적인 관리미흡 등 관리체제상의 문제에 대해 인정하는 한편, 의원들이 지적하는 사항에 대해 '공감' 혹은 '시정할 것'으로 일관되게 답변했다.
특히, 이 총재는 열린우리당 유필우 의원의 혈액사업 분리에 대해 "원칙적으로 해야한다고 보지만, 적십자사와 전혀 별개로 사업이 추진된다고 볼 수 없다"며 "과도기적 과제가 끝날 때까지는 잠정적으로 분리하지 않는 것이 옳다"고 의견을 개진했다.
한편, 11일 열린 대한적십자사 국정감사에서는 혈액사업의 총체적 관리부실과 시스템 제도의 통일화 방안이 주로 논의 됐다.
열린우리당 강기정 의원은 혈액검사시약의 관리장부 기재의 일관성을 이유로 28억원을 들인 혈액통합전산망(BIMS) 이전에 관리체계의 확립을 지적했다.
한나라당 정화원 의원 역시, 전체헌혈자 중 약 20%의 신규헌혈자 과거병력정보가 전무하다며, 신규헌혈자에 대한 정보제공 기능을 추가하는 등 업그레이드 된 통합혈액전산망 구축을 제안했다.
고경화 의원의 경우 지난 14년간 전국적으로 혈장성분 채혈시 단백질 검사를 실시하지 않는 등 혈액관리법을 위반한 사례를 들며, 혈액검사를 위한 전산시스템 개발이 시급하다고 역설했다.
민주노동당 현애자 의원의 경우 수입혈액의약품을 적십자가 관리함으로 인해 환자의 약가 부담이 가중되고 혈소판 공급에 있어서 병원의 수익성이 증가하는 농축혈소판 채혈문제의 근원적인 해결책을 제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외에 유필우 의원은 군인 단체헌혈의 문제, 열린우리당 이상락 의원은 혈액사고와 관련 고발자에 대한 부당한 징계사유 등 등록헌혈자의 증대를 요구했으며, 김춘진 의원은 헌혈의 집 운영에 있어서 고비용 저효율 구조를 탈피하기 위한 개혁을 이끌어 내야한다고 지적했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