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21 16:58 (월)
경제 불안 당뇨조절 실패와 연과 커
상태바
경제 불안 당뇨조절 실패와 연과 커
  • 의약뉴스 이한기 기자
  • 승인 2014.12.31 07: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음식이나 의약품을 안정적으로 구할 수 없는 사람들이 이러한 걱정이 없는 사람에 비해 당뇨병 관리에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진은 경제적 불안정 요인이 하나씩 더해질 때마다 당뇨병 조절에 실패할 가능성이 39%씩 증가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에 의하면 미국 전체 인구 중 약 9%가 당뇨병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당뇨병 중 가장 일반적인 형태인 제2형 당뇨병은 보통 비만과 관련이 있는 질환이다.

연구팀은 국제 학술지인 JAMA Internal Medicine을 통해 오바마케어라고 많이 알려진 2010년 환자보호 및 부담적정보험법이 당뇨병 환자들의 의료 접근권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더 많은 의료서비스를 받게 되었다고 해도 음식과 의약품 또는 당뇨병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물품을 보장받을 수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저소득층의 사람은 접근권이 늘어난 만큼의 혜택을 얻지 못했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

연구진은 2012년 6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메사추세츠의 병원에 방문한 411명의 당뇨병 환자들에 대한 자료를 분석했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보험을 가지고 있었으며 46%는 당뇨병이 충분히 조절되지 않은 상태, 40%는 식품, 의약품 혹은 다른 필수품을 가질 수 없는 상황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8%는 약값을 지불할 수 없기 때문에 약을 복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14%는 공과금을 지불하지 못한 상태, 20%는 음식을 안정적으로 구할 수 없는 상태, 11%는 주거환경이 불안정한 상태로 집계됐다.

연구진은 음식과 의약품과 관련된 불안정 상태가 당뇨병 조절 실패와 연관이 있다는 점을 발견했다.

예를 들어 음식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사람 중 당뇨병이 조절되지 않은 사람은 42%였던 것에 비해 음식 공급이 불안정하다고 답한 사람 중 당뇨병 조절에 실패한 사람은 64%로 나타났다.

주거나 에너지 관련 불안정성은 당뇨병 조절을 악화시키지는 않았지만 불안정 요인이 많을수록 당뇨병 조절에 실패할 가능성이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의 주저자인 메사추세츠 종합병원의 세스 버코위츠(Seth Berkowitz) 박사는 “보험보급률이 높아져도 이 같은 문제는 남아있을 수 있다”고 말하며 “이는 의료 시스템 수준에서 해결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정책이나 제도적 차원에서 다뤄져야 할 문제”라고 덧붙였다.

또 만약 이 같은 어려움을 겪는 환자라면 의사들과 의료서비스 제공자들에게 이를 알려야 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