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 관계자는 " 워낙 예민하고 민감하다, 조심스럽게 여론을 조사하고 있다" 고 말했다.
그는 "원희목 대약 회장이 카운터 문제를 밀어부쳐 약한 회장의 이미지를 벗을 지도 모른다" 고 말했다. 카운터가 제도권으로 흡수되면 약사들은 보건범죄의 가시방석에서 벗어나게 된다.
한 개국약사는 " 카운터의 이름을 약사보조원제로 할지 다른 이름이 도입될지 모르지만 일단 합법적인 약사종업원이 약국에서 활동하면 약사 지위도 덩달아 올라가게 될 것" 이라고 환영했다.
그는 " 보조원이 약사의 감시아래 일반약을 자유롭게 판매할 수 있게 되면 오히려 약국의 매출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져와 장기적으로 약국에 도움이 될 것" 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약사종업원이 합법화 되면 서로 힘을 뭉쳐 약사에 대항 하게 될 것을 염려 하는 목소리도 만만찮다.
소형약국의 한 약사는 " 임금이나 노동조건 등에 있어 공동대결 할 경우 약국은 힘에 부칠 수 있다" 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대약이 이 문제를 신중하게 접근하는 이유도 이처럼 양쪽으로 갈라진 첨예한 입장차 때문이다.
약사회 관계자는 " 예민한 부분이다, 너무 힘든 문제다" 라면서 " 하지만 여론을 수렴해 공론화 작업을 거쳐 도입하는 방안도 신중히 검토할 문제"라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약국의 병든 치부가 이번 기회에 사라지게 될지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의약뉴스 이병구 기자(bgusp@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