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스포츠활동을 즐기는 인구들이 늘어나면서 무릎관절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사람들 중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돼 치료를 받는 사례들이 늘어나고 있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은 과거 무릎질환 치료의 대부분을 차지했던 퇴행성관절염 만큼이나 발생빈도가 높은 질환으로 손꼽히고 있다. 특히 반월상연골판 파열은 퇴행성관절염으로 악화될 수 있어 진행과 관련 있어 치료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 무리한 운동, 갑작스러운 회전…무릎 반월상연골판 손상 위험 주의
반월상연골판 파열의 주요 원인은 스포츠 활동 중 관절부상이다. 반월상연골판은 무릎관절의 중간에 위치해 걷고 달리고 움직이는 활동 중에 체중 부하로 받을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해 관절연골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반월상연골판은 활동량이 많고 과격한 운동 중 무릎을 구부린 상태에서 갑자기 회전할 때 파열되기 쉬운데, 축구·농구 혹은 스키와 같은 겨울스포츠 활동 시 많이 발생된다.
반월상연골이 파열되면 동통과 부종으로 다리를 절게 되며, 무릎을 끝까지 펼 수 없게 된다. 급성기에는 관절 내에 출혈이나 물이 차는 증상이 발생해 극심한 동통을 호소하기도 하며 계단을 내려갈 때 슬관절의 안정성이 없어 갑자기 무력해지는 느낌이 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증상이 2주 이상 지속된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보는 것이 좋다. 파열된 지 오래된 경우에는 변성이 일어나 봉합을 해도 잘 아물지 않고 회복이 어렵고 통증 및 2차적인 연골 손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이다.
▶ 관절내시경 시술, 스포츠 손상으로 병원 찾는 젊은 관절환자 치료 부담 낮춰
반월상연골판이 파열되면 정상적인 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데 치료시기가 늦어지면 퇴행성관절염으로 이어지기 쉬워 이상 징후가 느껴지면 즉시 적극적인 치료를 받아야 한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의 치료는 손상 정도에 따라 달라진다. 연골판 손상이 심하지 않을 때에는 약물·물리치료로 가능하지만 손상이 심한 경우에는 관절내시경 시술이 효과적이다. 관절내시경은 손상 부위와 정도를 확인하고 치료까지 병행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는 가장 효과적인 치료방법이다.
관절내시경 시술은 무릎관절 부위에 관절내시경을 삽입한 후 직접 모니터로 보면서 손상된 연골을 보면서 치료하는 치료법이다. 특히 모니터를 통해 관절 속을 확대해 볼 수 있어 CT나 MRI검사보다 더욱 정확하게 진단하며 치료할 수 있다. 또한 수술시간이 짧고 절개부위가 작아 통증과 출혈, 감염의 위험이 적고 회복기간이 빠르며, 흉터가 거의 남지 않아 미용적 측면을 고려하는 젊은 환자들의 수술 후 만족도가 높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은 초기에 별다른 통증이나 증상이 없어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은 만큼 스포츠 활동 중 무릎에 부상을 당했다면 별다른 증상이 없어도 병원을 찾는 것이 좋다. 치료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무릎 연골판 손상을 예방하는 스트레칭을 운동 전후 시행해 관절부상을 예방하고, 근육의 피로도를 풀어주는 것이 좋다.
<자료제공: 웰튼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