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07:42 (금)
경기도약 전자처방전 난상토론 결론못내
상태바
경기도약 전자처방전 난상토론 결론못내
  • 의약뉴스
  • 승인 2004.09.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약사회(회장 김경옥)가 오는 15일까지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과 관련 경기도약의 입장을 정리할 방침인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약은 1일 (주)포씨게이트 관계자와 나레연 부회장 등 약계 인사들이 참석한가운데 '전자처방전 전달시스템 공청회'를 열고 결론을 도출하려 했으나 양자간 입장 차를 좁히지 못했다.

따라서, 경기도약은 10일까지 회원들의 의견수렴을 거친 후 이 달 중순에 약사회의 공식적인 가이드라인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날 열린 공청회는 ▲키오스크 시스템 도입에 따른 병원과 약국간 담합 ▲전자결제 시스템 요금의 적정성 ▲전자결제 약국의 지정 및 비 지정 방식 ▲처방전의 분산효과 ▲환자정보 유출 등이 쟁점사안으로 다뤄졌다.

하지만, 약사회가 제기한 포괄계약에 대해 포씨게이트측이 "약사회가 약국과 계약관계의 콘트롤 역할을 수행한다면 얼마든지 수긍할 수 있다"는 긍정적인 반응 이외에는 양자간 이견이 팽팽히 맞섰다.

나 부회장은 "키오스크 전자결제 시스템이 담합의 고착화의 중심에 있다"며 "포씨게이트가 전체처방의 1%를 차지한다지만 전체 의약품유통시장의 내용상 더 많고, 결과적으로 담합의 틀을 제공하기 때문에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키오스크를 약에 비유하면 좋은 약이지만 부작용이 많다"며 "병원의 경우 인원절감과 시간축소 등 메리트가 있으나, 약국에는 시스템활용으로 약간의 수입이득만이 있을 뿐"이라고 밝혔다.

이에 포씨게이트 김영태 대표이사는 "키오스크는 전자결제 시스템은 전달매체로 작용한다"라며 "담합이라면 병원과 약국간 이익 사이에서 우리가 이득을 위한 행위를 해야하는데 실질적으로 특정 담합에 대한 이득은 없는 실정"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전자결제 시스템의 요금문제와 관련 약사회가 주장하는 건당 50원, 최대 20만원 선에 대해 향후 더욱 논의키로 하는 선에서 마무리 됐다.

한편, 처방전의 분산효과와 전자결제의 지정문제의 경우 일부 문전약국을 제외하면 별다른 효과를 볼 수 없다는 점과 비 지정 약국은 상대적으로 경쟁관계에서 불이익을 당한다고 회원들은 의견을 개진했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