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00:01 (금)
[다사랑중앙병원]추석 명절 지켜야 할 '절주수칙'
상태바
[다사랑중앙병원]추석 명절 지켜야 할 '절주수칙'
  • 의약뉴스
  • 승인 2014.09.04 12: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족 최대의 명절인 추석이 다가왔다. 오랜만에 고향에 내려와 가족, 친지들과 함께 모여 차례를 지내고 명절음식을 나누며 덕담을 주고받는 즐거운 시간을 보낸다. 모처럼만에 보고 싶었던 친구, 친지들과 어울리다 보면 술잔이 오가기 마련이다. 하지만 이렇게 분위기에 취해 '괜찮겠지' 하는 생각으로 과음하는 것이 문제이다.

서울에서 직장생활을 하는 김 모씨(남, 35세)는 지난 추석, 고향에 내려가 반가운 친구들과 회포를 풀다 보니 술잔을 기울이지 않을 수 없었다. 서로의 안부를 묻는 사이 분위기에 휩쓸려 밤늦게까지 술을 한 잔 두잔 마시다 보니 자신의 주량을 훌쩍 넘겨버렸다. 명절 새벽까지 술자리가 이어져 결국 차례를 지내야 하는 김씨는 만취가 돼 조상도 모시지 못하고 명절 내내 숙취로 고생해야 했다.

◆명절 때 낮술, 알코올 농도 쉽게 올라가 더 위험
우리나라는 주로 명절이면 온 가족이 한자리에 모여 차례를 지낸 뒤 조상을 기리는 음복으로 제사음식과 함께 술을 마시게 된다. 때문에 술 몇 잔은 쉽게 마시게 된다. 문제는 명절 시 차례주로 사용되는 전통주들이 대부분 알코올 도수가 높은 독주여서 그만큼 체내에서 분해되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것이다. 특히 낮에 마시는 술은 밤에 마시는 술보다 단시간에 혈중 알코올 농도를 쉽게 올리기 때문에 빨리 신체에 영향을 주고 취하게 만든다. 때문에 가볍게 생각하는 낮술은 생각보다 알코올 농도를 상승시켜, 대낮부터 과음을 하게 되면 판단력이 떨어지고, 졸음운전으로까지 이어져 대형교통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도로교통공단이 최근 5년간(2008~2012년) 추석 교통사고 현황을 분석한 결과, 추석연휴기간에는 평소에 비해 100건당 교통사고 사상자(사망자+부상자)가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추석연휴기간 음주운전사고 점유율은 15.7%로 평상시 음주운전사고 발생률(12.6%)에 비해 1.2배 높았으며, 1일 평균 음주운전사고 발생건수와 100건당 사상자 모두 추석 연휴기간이 평소에 비해 크게 증가했다.


◆추석 명절, 세대 간 올바른 음주문화를 위해 절주수칙 준수해야
듀오라이프컨설팅이 지난 2012년 9월 10일부터 22일까지 전국 기혼 남녀 588명(남성 262명, 여성 326명)을 대상을 '명절 술자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한 결과 '명절 1일 마시는 술의 최대량'은 남성의 경우 소주 기준 '3병 이상~4병 미만'(43.5%)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여성은 '1병 이상~2병 미만'(60.7%)이라는 의견이 많았다. 한편 부부 10명 중 9명(93.7%)은 명절 술자리가 자녀교육에 '영향을 준다'고 인식했다. 또한 복건복지부가 2010년 9월 21일에 발표한 보도 자료에 따르면 청소년들이 처음으로 음주를 하게 되는 계기 중 '명절'이 차지하는 비중이 20% 이상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명절이면 친지들끼리 모인 술자리에서 '술은 어른에게 배워야 한다'며 청소년들에게 은근히 술잔을 권하는 경우가 있다. 가정 내에서 청소년 음주에 대해 관대한 분위기가 청소년 음주의 주요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 가족이 모인 명절에는 청소년에게 술을 권하는 어른들이 적지 않다. '어른이 주는 술은 마셔도 돼' 혹은 '명절이니까 한잔해도 괜찮아'라는 말로 청소년들은 명절의 분위기에서 아무런 죄책감 없이 술을 배우게 되는 경우가 상당하다. 이제는 명절을 맞아 가족, 친지들이 함께 모이더라도 청소년 앞에서 과음하거나 술잔을 권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Tip. 추석 명절, 가족 간에 지켜야 할 절주수칙
명절에는 가족과 친지들과의 모임에서 따뜻한 정을 나누려면 무엇보다도 몸에 해롭지 않게 절주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절주수칙을 준수하는 것은 세대 간에 올바른 음주문화를 전수해 줄 수 있는 기회도 된다.

◇술잔을 건네기보다 즐거운 대화를 건네자
체내에 흡수된 알코올 중 10% 정도는 호흡으로 배출된다. 정을 술로 나누지 말고 정겨운 대화로 나누어 보자. 가족, 친지들과 즐거운 대화를 나누면서 마시면 대화만큼 덜 마시게 되고 기분도 좋게 되어 그만큼 몸과 마음이 상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첫잔을 여러 번에 걸쳐 나눠 마시자
전체적인 음주량이 많은 것도 위험하지만 순간적으로 혈중 알코올농도가 증가되는 것이 더욱 위험하다. 따라서 술잔에 술을 남겨둘수록 평소보다 술잔이 채워지는 횟수가 줄어들 가능성이 높으니 첫잔을 한꺼번에 마시지 말고 여러 번에 나눠 마시는 것이 좋다.

◇음주 시 물이나 신선한 야채를 많이 먹자
알코올은 위, 소장 등에서 주로 흡수된다. 음주 시 간 대사에 도움을 주는 고단백안주와 그밖에 물이나 오이, 당근과 같은 신선한 야채를 많이 먹으면 알코올의 흡수를 늦출 수 있어 덜 취하게 된다.

◇술잔을 돌리지 말자
술자리에서는 가족, 친지들의 의견을 존중하고 술을 억지로 강요하지 말아야 한다. 개개인마다 그날 컨디션과 상황, 주량 등이 다 같을 수 없기 때문이다. 지나친 강요는 상대방의 생활리듬과 건강을 훼손시키기 때문이다. 술잔을 돌리게 되면 자기 주량에 비해 많이 마시게 될 위험이 크고 위생에도 좋지 않다.
 

 <자료제공: 다사랑중앙병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