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일 업계에 따르면 제약사 경기회복을 위한 특단책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피피에이 사건을 복지부나 식약청 혹은 해당 제약사 탓으로만 돌려 면피하려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는 것.
약사회 한 관계자는 "일반약 활성화도 지지부진하고 전문약 처방마져 줄어드는 상황이 오고 있고 결국 이런 현상은 개국가의 경기침체 장기화로 이어진다" 며 "제약사를 살릴 방안을 연구중에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제약사가 살아야 약국이 사는 것 아니냐" 며 "약사들도 모든 책임을 제약사로 돌리고 제약사를 지나치게 공격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한 개원의도 "피피에이 사건은 전반적으로 약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고 이는 처방 감소를 불러 온다" 며 "제약사의 사회적 위상을 높이는 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제약사를 봉으로 여겨 달라고 요구만 해서는 안된다" 며 "이제는 의사들이 제약사에 무엇을 줄 것인지를 생각해 볼 시점"이라고 진지하게 말했다.
이같은 분위기에 대해 한 제약사 사장은 "거래관계상 의사 약사에게 늘 약자의 위치에 있었다" 며 "제약사의 고혈을 빨아 먹고 나중에 빨 것이 없으면 그들도 힘이 없어진다는 사실을 알아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고 평소 불만을 말했다. 부메랑으로 자신에게 돌아온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는 것.
이 사장은 " 의사 약사 제약사가 서로 윈윈 할 수 있는 방안을 찾는 것이 지금처럼 약의 위기시대에는 절실히 필요하다" 며 "그러기 위해서는 의약사가 손잡고 일반약은 물론 전문약 살리기에 나서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의약뉴스 이병구 기자(bgusp@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