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복지부 송재성 차관은 9일 식약청(청장 심청구)이 최근 발표한 페닐프로판올아민(PPA) 성분함유 감기약 제품의 사용중지 처분에 대해 감사결과에서 이같이 발표했다.
송 차관은 식약청이 복지부 장관에 대한 사전보고 미이행, 불성실한 보도자료 발표, 사후관리의 부실, 연구결과의 부정확한 발표 등 업무를 태만히 한 점을 시인했다.
또한, 송 차관은 PPA 관련 부작용정보 입수 후 관계 공무원들의 업무소홀로 인해 지금까지 후속 행정처리가 지연된 사실을 지적, 실무자와 지휘책임자에 대한 조치를 취할 것을 밝혔다.
이는 심 청장이 사의 발표이후 문제를 식약청으로 국한시켜 해결할 것을 표명하는 등 최대한 여파를 줄이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우선 송 차관은 "일련의 조치는 식약청이 적절했다"며 "하지만 매끄럽지 못한 일처리가 있어 이번 사태가 벌어져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감사결과 발표를 앞두고 심경을 토로했다.
제약업계의 압력설에 대해 송 차관은 "제약업계를 봐주기 위한 행동이 아니냐는 말이 있는데 이러한 오해의 소지가 있어 매우 유감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송 차관은 "복지부는 정책을 담당하고 있으며, 식약청 분리이후 의약품사용의 안전성을 담당해왔다"며 "앞으로 식약청의 기능을 강화하겠다"고 복지부의 입장을 정리했다.
심 청장의 사의의 복지부 수리에 대해 "아직까지 결정된 사항은 없다"고 말했으나 "차기 청장이 누가 내정될 것인지 말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말해 심 청장의 사퇴가 어느정도 복지부 내에서 결정된 것으로 비쳐졌다.
아울러 가장 쟁점이 된 연구결과의 사전 유출의 경우 송 차관은 "이미 계약서에서 6개월에 한번씩 보고키로 한 상황인 만큼 제약회사들이 알고 있던 문제"라고 답변했다.
의사협회 등 의료계가 주장하는 의약품 재분류 주장에 대한 검토는 "현재 의약품이 전문약과 일반약으로 분류되고 있고 수시로 전문약과 일반약의 관리는 항상 이뤄지는 일"이라며 "의약품 재분류는 연구과제로 진행시킬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복지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 의약품 사용의 허실이 판명된 것으로 인식하고 ▲의약품안전정책심의위원회 구성 ▲위해정보담당관실 설치 검토 ▲복지부차관 주재 현안점검 회의 개최 등 식약청 업무를 강화할 방침이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