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공불락 難攻不落 [어려울 난/칠 공/아니 불/떨어질 락]
☞공격하기가 어려워 함락시키지 못한다는 뜻으로 삼국지에 나오는 말이다.
명 재상 제갈공명은 위나라의 작은 성 진창성을 공격했으나 진창성을 지키고 있던 학소는 단 천명의 병력으로 성을 굳게 지켰다는데서 유래했다. 공명은 "학소가 지키는 진창성이 '난공불락'이다라고 했다고 한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난공불락 難攻不落 [어려울 난/칠 공/아니 불/떨어질 락]
☞공격하기가 어려워 함락시키지 못한다는 뜻으로 삼국지에 나오는 말이다.
명 재상 제갈공명은 위나라의 작은 성 진창성을 공격했으나 진창성을 지키고 있던 학소는 단 천명의 병력으로 성을 굳게 지켰다는데서 유래했다. 공명은 "학소가 지키는 진창성이 '난공불락'이다라고 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