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는 '자정운동'이라는 말 조차도 듣기 어렵게 될만큼 약국자정은 과거의 일로 묻히고 있다. 6일 개국가에 따르면 약국의 불법행위는 여전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오히려 자정운동 이전보다도 더 극성을 부린다. 일반약을 사입가 이하로 판매하는 난매행위, 처방전 없는 전문약 팔기, 본인부담금 할인, 비약사 의약품 판매 등이 계속되고 있다.
한 개국약사는 " 애초 자정운동은 머나먼 나라의 구호였다" 며" 스스로 자정하지 못하니 외부의 감시가 극성을 부리는 것 아니냐" 고 반문했다. 그는 " 약국이 범죄소굴이냐" 며 "약사감시일원화를 외친 것은 참으로 부끄러운 행동"이라고 열을 올렸다.
다른 개국약사도 " 옆 약국에서 하는 불법은 인근 약국이 가장 잘 안다" 며 "서로 쉬쉬 하면서 불법을 저지르고 있는게 현실" 이라고 말했다.이와관련 한 분회장은 "약국 자정 노력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는 것은 경기 침체와 과당경쟁이 한 원인" 이라고 지적해다.
그는 " 서로 옆 약국 때문에 손해를 보고 있다는 피해의식에 약사들이 사로 잡혀 있는 것 같다" 며 "현재로써는 불법을 해결할 방법이 없다"고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었다. 드링크 10원, 20원 싸게 팔고 본인부담금 100원, 200원 깎아주는 것을 경영상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고 있다.
자주 약국을 이용하는 단골이나 노인환자들이 이 약국 저 약국 다니면서 '여기는 왜 이렇게 비싸냐'고 항의하거나 '다른 약국은 처방없이 약 주는데 여기는 왜 안주느냐'는 소리를 듣는 것이 괴로울 수 밖에 없다는 것.
약사회 한 관계자는 " 아무리 해법을 찾으려 해도 뾰족한 방법이 없다" 며 " 말그대로 자정인 만큼 옆 약국 눈치 보지 말고 스스로 정화하는 방법밖에 다른 길이 없다" 고 강조했다. 그는 "대관업무나 다른 단체와의 현안 문제 해결에 있어 약사주장이 설득력을 얻으려면 자정운동을 확실히 해야 한다"고 말을 맺었다.
의약뉴스 이병구 기자(bgusp@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