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07:42 (금)
쎄레브렉스, 디클로페낙보다 효용성·비용 효과 우수
상태바
쎄레브렉스, 디클로페낙보다 효용성·비용 효과 우수
  • 의약뉴스
  • 승인 2004.07.02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럽의 골반 및 무릎 골관절염 노인 환자 연구 결과
쎄레브렉스 (CELEBREX, 성분명: 쎄레콕시브, celecoxib)로 치료 받은 골반 또는 무릎 골관절염 노인 환자들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 쎄레브렉스로 치료할 경우 디클로페낙에 비해 안전성, 약물 불내성 (intolerability) 및 이상 반응 (adverse events)으로 인한 중단 등의 위험이 현저히 낮은 것으로 최근 밝혀졌다.

또한 스웨덴 및 노르웨이의 124개 센터에서 실시된 동 연구에 대한 비용 분석 (Costs Analysis)에서 쎄레브렉스가 디클로페낙 보다 평균 총 치료 비용이 낮다는 결과가 최근 베를린에서 열린 유럽 류머티스 학술대회 (European League Against Rheumatism: EULAR)에서 발표됐다.

스웨덴 카롤린스카 연구소 (Karolinska Institute)의 고문 류머티스 학자 보 링거츠 (Bo Ringertz) 박사는 "통증이 매우 심한 노인 환자들의 경우 장기간에 걸친 지속적인 진통 및 항염증 치료를 통해 보다 큰 혜택을 얻을 수 있다. 쎄레브렉스는 꾸준한 항염증 치료가 필요한 만성 환자들에게 치료의 지속성을 높여주어, 임상 효과를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이상반응으로 인한 연구 중단율은 쎄레브렉스가 27%, 디클로페낙이 31%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 통증 등급 (VAS, visual analog scale) 으로 측정한 관절염 통증 정도는 치료 시작 시 (baseline)에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환자의 약 40%가 치료 시작 시 통증을 거의 또는 전혀 느끼지 못했다.

치료 시작 시에 심한 통증을 느낀 환자 182명의 경우, 두 가지 약물 모두 비슷한 효과를 보였으며 연구 기간 동안 4주 치료 후에는 시각 통증 등급 (VAS) 점수가 30 mm 감소했다.

그러나, 치료 중단률은 쎄레브렉스 (8.8 %)가 디클로페낙 (23.1 %)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디클로페낙 투여군은 쎄레브렉스 투여군에 비해 심혈관 및 신장과 간기능 이상에 대한 보고가 유의하게 많았다.

한편, 연구 모집단에 대한 비용 분석 결과, 장기적 관점에서는 외래 진료 및 입원 비용이 줄어들어 디클로페낙 치료 환자보다 쎄레브렉스 치료 환자의 비용이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치료군에서 총 직접 비용 및 질 보정 수명 (quality adjusted life years, QALY) 효과는 모두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연구 약물의 비용은 디클로페낙 치료 환자보다 쎄레브렉스 치료 환자가 높게 나타났지만, 이는 외래 진료 및 이상 반응으로 인한 입원 비용의 감소로 인해 상쇄됐다.

링거츠 박사는 "분석 결과, 쎄레브렉스 투여군이 디클로페낙 투여군 보다 평균 총 치료 비용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러한 결과는 임상 효과 및 안전성 결과와도 잘 부합되며, 통증이 보다 심한 환자군이 장기간 동안 지속적인 통증 및 항염증 치료에서 최대의 혜택을 얻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연구 약물 자체의 비용은 차이가 있었지만 (쎄레브렉스 €255, 디클로페낙 €115), 환자 1인당 평균 총 치료 비용 (약 €2,100)은 쎄레브렉스와 디클로페낙 치료 환자 모두 비슷했다.

통증이 보다 심한 환자의 경우 (치료 시작 시 시각 통증 등급 (VAS) 70mm 초과, 쎄레브렉스군 91명, 디클로페낙군 91명), 평균 총 치료 비용은 쎄레브렉스 투여군(€1,762)이 디클로페낙 투여군 (€2,261)보다 현저히 낮았다.

시각 통증 등급 (VAS)이 70 mm 미만인 환자의 경우 평균 총 치료 비용은 쎄레브렉스 투여군에서는 €1,894, 디클로페낙 투여군에서는 €1,859인 것으로 나타났다. 시각 통증 등급이 70mm 미만 환자의 14%가 입원 환자로 보고되었으며, 이는 총 비용의 44%를 차지했다.

연구 치료나 골관절염과 무관한 입원 비용을 제외한 경우에도 결과는 같았으며 양 투여군의 질 보정 수명 (QALY)은 비슷한 것으로 드러났다. 환자가 보고한 질 보정 수명 (QALY)은 0.64, 사회적 요금 (social tariff)을 기준으로 한 질 보정 수명 (QALY)은 0.72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여성이 68% (평균 연령 70.8세)를 차지하는 92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쎄레브렉스 200 mg 1일 1회 투여와 디클로페낙 50 mg 1일 2회 투여에 대해 1년간 다기관, 이중 맹검, 무작위 평행그룹 대조 실험으로 실시됐다.

환자연령은 60세 이상으로, 연구 방문은 치료 시작시, 4주, 13주, 26주, 39주, 52주에 이루어졌으며, 각 방문 시마다 시각 통증 등급(VAS) 및 이상 반응을 통해 관절염 및 관절염 통증에 대한 환자 및 의사의 전체적인 평가가 이루어졌다.

한편, 동 데이터에 대한 비용 분석이 진행되었으며, 치료를 중단한 환자들도 연구 종료인 52주째에 건강 경제성 평가에 참여하도록 선택할 수 있었다. 평균 치료 비용은 연구 약물, 병용 약물, 외래 진료 및 입원 비용을 바탕으로 산출됐다.

의약뉴스 이현정 기자(snicky@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