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 회장은 12일 병협 회의실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차후 정치세력화를 통해 의료문제를 풀어나갈 것을 시사했다.
이와 관련 “병협 내부의 많은 분들이 정치력을 가져야 하는데 현재 별로 없다”라며 “하지만 재경분과위와 노사위 등에 의사가 아니더라도 의협의 고문위원과 자문위원을 맡은 많은 분들과 함께 의료문제를 풀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의약분업에 대해 “의료계와 제약산업을 살리자는 의약분업이 국내 의약산업 전반을 몰락시켰다”며 “의협과 병협이 의료수가, 약가고시가제, 민간사보험 등 공유할 수 있는 부분에 대해 협의체를 구성키로 김재정 회장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 회장은 특히, 복지부가 추진중인 의사면허 제도 개선과 의사재평가에 대해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며 “의사는 자율직업이고 보수교육 받는 것만으로 족하다”라며 “늙었다고 다시 시험을 보자는 것 자체가 문제인데, 이에 찬조하는 것은 의사로서 자각이 없는 것”이라고 맹렬히 비판했다.
유 회장은 올해 ▲의료기관평가와 병원노사문제 ▲병협 예산확보를 위한 사업활성화 ▲병원산업육성을 가장 큰 목표로 제시했다.
의료기관 평가와 병원노사문제는 “서비스의 질적 제고만 하자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소위원회를 통해 이 문제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지고 있다”며 “노사문제는 특성별 교섭을 병협이 수용했고, 노사 양측의 이견조정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병협 예산확보를 위한 사업활성화와 병원산업 육성은 “불필요한 사업부서의 예산을 과감히 줄이고 사업부서 확충을 통한 사업활성화를 통해 예산을 확보할 방침”이라며 “병협을 중심으로 정상적인 병원운영의 기틀을 잡는데 주력할 것”을 다짐했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