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메나리니(대표: 알버트 김)는 지난 27일, 순환기내과 및 심장내과 전문의 90 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자사의 고혈압치료제 출시를 기념하는 'Menarini CV 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전해왔다.
이번 포럼은 한국메나리니의 대표적인 고혈압 치료제 네비레트(성분명: 네비보롤염산염)의 독특한 작용기전,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하는 임상 내용 발표, 메나리니 그룹 소개, 토론 등으로 구성됐다.
포럼의 좌장은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 김효수 교수가 맡았으며, 첫 번째 발표를 맡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순환기내과 문건웅 교수는 ‘유럽심장학회와 유럽고혈압학회의 고혈압 재평가: 혈관확장 베타차단제의 입지 (Reappraisal of ESH/ESC hypertension: Is there a place for vasodilator beta blockers?)라는 주제로 현재 시판되고 있는 베타차단제들의 우위 비교 자료와 함께 네비레트의 독특한 이중 작용 기전에 대해 소개했다.
문건웅 교수는 “네비레트는 산화질소에 의한 혈관 이완 효과와 혈역동학적 성질을 가진 최신의 3세대 베타차단제”라며 “네비레트의 독특한 혈관확장 효과는 기존의 베타차단제와 비교해 새로운 당뇨병 발생을 증가시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두 번째 연자로 참석한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내과 홍범기 교수는 ‘혈압조절 능력 향상과 심혈관 효과를 입증한 독특한 베타차단제 네비레트 (Nebilet: A Unique Beta-Blocker proven to Improve Hypertension Control and Cardiovascular Outcome)’라는 주제로 네비레트의 우수한 효능과 안전성을 입증하는 연구 결과들을 발표했다.
특히, 홍범기 교수는 11개국, 70세 이상 고령환자 2135명을 대상으로 한 SENIORS 임상 내용을 소개하며 “연구 30주 차에서 네비레트 투여군에서의 사망률이 위약대비 약 12% 낮았으며, 급성심장사 발생률은 38%가량 낮게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한 65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 ENECA 임상을 설명하며 “네비레트를 복용한 환자군의 좌심실 박출율이 35% 향상됐으며, 위약군 대비 환자 생존율이 현저하게 높게 나타났다”면서 "고령의 노인 환자에게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약물"이라고 소개했다.
마지막으로, 토론 시간에는 강연 내용을 바탕으로 베타차단제의 역할과 향후 방향 및 네비레트가 환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임상적인 특성에 대해 학술적인 토론이 이어졌다.
연자의 발표에 앞서 메나리니 그룹의 의학부 마시모 노타리(Massimo Notari) 박사는 메나리니 그룹의 역사와 전세계 네트워크에 대해 소개하면서 “고혈압치료제는 메나리니 그룹 매출의 40% 이상을 차지한다”며 “특히 베타 차단제인 네비레트와 ACE 저해제인 조페닐(성분명: 조페노프릴칼슘)은 다양한 임상을 통해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된 명실상부한 메나리니 대표 제품”이라고 소개했다.
포럼을 주최한 한국메나리니 알버트 김 대표는 “메나리니 CV 포럼을 통해 한국메나리니의 고혈압 치료제품들의 우수성을 소개할 수 있게 돼 뜻 깊다”면서 “앞으로도 학술적으로 의의가 있는 심포지엄 개최를 통해 자사의 제품을 소개하고, 최신 연구 지견을 나눌 수 있는 자리를 만들겠다”고 전했다.
한편, 네비레트의 원 판권자는 메나리니이며 미국, 독일 등 전세계 78개국에서 판매 중인 고혈압치료제로, 지난 2009년 6월 GSK를 통해 국내 소개됐다.
네비레트는 3월 1일부터 공식 출범하는 한국메나리니가 본격적인 마케팅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전세계 30여 개국에서 판매되고 있는 ACE 저해제 조페닐은 국내에 2월에 출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