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약사회와 한국의약품도매협회가 약가인하 차액보상문제를 두고 팽팽하게 맞선 가운데 대약과 도협의 시도약사회, 시도지회가 협의를 통해 풀어갈 것으로 보인다.
대약과 도협은 지난주 입장 발표를 주고 받으며 서로의 입장만 확인한 채 차액보상 문제에 있어 진전을 보이지 못했다.
먼저 도협은 2~3월 사입분량에 대해 30%만 보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에 대약은 지난 2월부터 언급된 3월 말일 약국 재고기준 차액보상, 4월까지 전품목 정산 완료라는 원칙을 강조하면서 비협조사에는 결제 보류로 맞서겠다면서 강하게 대응했다.
그러자 도협 역시 ‘공급중단’을 거론하며 강하게 반발했던 것이다.
만약 대약과 도협이 해결점을 찾지 못하고 결제거부, 공급중단으로 계속 맞선다면 이는 양쪽 모두에게 큰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하지만 다행히 이러한 갈등을 각 시도약사회와 도협시도지회가 풀어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부산시약사회와 부울경도협은 회의 끝에 부울경 약가보상 공동 시스템을 활용해 반품하고 차액은 오는 5월 말까지 정산하는 것으로 합의했다.
이에 앞서 인천시약사회와 지역 도매업체들 역시 자체적으로 협의를 통해 반품과 보상 기준을 마련하기도 했다.
이처럼 대약과 도협이 첨예하게 맞서고 있지만, 각 지역별로 현실을 감안해 자체적인 협의로 문제를 풀어가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양측이 극단으로 치닫는 것은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반품대란으로 인한 우려는 어느 정도 해소될 전망이다.
한편 이러한 상황에도 별다른 행동을 취하지 않고 있는 보건복지부와 차액보상에 미온적인 제약사에 대한 성토도 쏟아졌다.
서울시약사회와 서울도협은 19일 성명을 통해 보건복지부와 제약업체의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했다.
이들은 성명을 통해 정부의 일방적인 약가 일괄인하로 약국과 도매업계가 피해를 입지 않도록 제약업체의 신속한 약가 차액보상 해결 노력과 복지부의 적극적인 사태해결을 요구했다.
특히 양 협회는 “복지부는 보험약가 일괄인하로 인해 발생되는 약가인하 차액보상에 대해 모든 행정력을 동원해서라도 원만하게 해결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일시적 보험약품 미출하로 인해 예상되는 조제 불능사태를 미연에 방지해 줄 것과 일반의약품의 무차별 인상 등 모든 혼란에 대해 책임있는 자세로 사전에 대책을 수립해 줄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