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충남의 등 집회 삭발 주문
제1차 전국 반 모임 행사와 4일 열린 공청회 등을 통해 'DRG 시행의 확실한 반대 입장을 거듭 확인한 의료계의 강성 기류가 지방의 시·도의사회로 번지고 있다.한 지역 의사회 관계자에 따르면 "DRG 전면 시행은 불가능한 이야기이다. 협회 차원에서 강력 대응해 나가야 한다"며 "복지부가 이런식으로 동의없이 강제 시행할 경우 의협 차원에서 안된다면 각 지역 의사회에서라도 주말을 이용해 반대집회를 해야 할 것이다" 라며 강경한 자세를 보였다.
이 관계자는 "분열을 획책하는 복지부에 이리저리 휘둘리지 말고 전 의료계가 단결해야 한다"며 구체적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
먼저 의료기관도 주 5일제 시행을 선포하고 의협 및 시도의사회가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할 경우 회비 납부 거부하자고 했다. 또 의협회장단의 삭발 등을 통해 전 협회회원의 단결과 그로인한 조직력강화가 필요하다고 제안 하기도 했다.
지역의료계의 이같은 강성 입장은 건강보험 재정 안정화 명분으로 시행되는 DRG제도는 결국 의료사회주의를 추진하려는 복지부의 의사표현이라며 따라서 국민건강보험법 시행령 개정안 역시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전남도의사회는 관내에 총 51개소의 반 모임이 열려 57%인 487명 회원이 참석한 것으로 집계하고, 기초 단위조직의 유대관계를 더욱 돈독히 다져 강제 실시를 강력히 저지해 나갈 것을 결의했다.
충남도의사회도 반모임 행사가 개최된 직후인 지난 2일 국민건강의 제1 파수꾼인 의사를 보건 행정의 주체로 인정해 줄 것과 DRG 및 감기 전산심사 등 의료의 질을 하향 평준화시키는 사회주의적 의료제도 도입을 즉각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의협은 이같은 민초 의사들의 의견을 취합하고 효과적인 투쟁방법을 모색하기 오늘(6일) 전국 시도의사회장 회의를 연다.
의약뉴스 노진헌 기자 (john@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