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매출 가격안정이 최우선
제약사 약가관리부가 핵심부서로 주목받고 있다. 이 부서가 마케팅 담당보다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것은 약가안정 때문이다. 제약사 하반기 영업이 약값에 달려 있음을 암시하는 대목이다.한 제약사 관계자는 " 마케팅보다도 약가관리에 회사가 더 신경을 쓰고 있는 현실이 안타깝다" 며 " 현행 약가제도는 반드시 폐지되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최저가제대신 가중평균가제를 적용한다면 제약사들이 약가인하 공포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영업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약사 한 임원은" 도매상의 무차별 출하로 인한 문제까지 제약사가 책임질 수는 없다" 며" 상반기 매출실적에서 보듯 제약사 영업이익 극대화를 위해서는 더이상 약가에 손을 대서는 안된다" 고 강조했다.
또다른 제약사 마케팅 담당이사는 " 우리부서는 뒷전이고 오너가 약가인하에만 신경을 곤두세우고 있다" 며 "게시판에 붙은 가격인하 가능성 등의 품목을 가리키며 침통해 했다. 그는 "만약 복지부안대로 인하가 되면 타격은 매우크다"고 심각하게 주장했다.
한편 복지부는 최저가제의 1년 한시기간이 만료됨에 따라 이 제도를 계속연장할 것인지 아니면 가중평균가제로 바꿀것인지를 심사숙고 하고 있다.
의약뉴스 이병구 기자(bgusp@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