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황사가 눈에 들어가 이물감이 느껴지면 눈을 부비거나 소금물로 씻어서는 안 되고, 인공눈물을 사용해 즉시 씻어내야 한다.
11일 식품의약품안전청은 황사는 각종 유해 중금속과 다량의 오염물질이 함유돼 있어 자극성 결막염과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 되므로 주의를 당부했다.
일부에서 소금물로 눈을 씻는 것이 안질환을 예방하거나 증상을 호전시키는 데 좋다고 잘못 알고 있으나, 이는 오히려 눈에 자극을 주어 증상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인공눈물은 윤활제와 전해질 성분으로 구성돼 눈물과 유사한 역할을 하는 안약으로 부족한 눈물을 대신해 눈의 건조증상을 완화시키거나 자극을 경감시키고 이물을 제거하는데 도움이 된다.
인공눈물의 주요한 성분으로는 포비돈, 카보머, 카르복시메칠셀룰로오스 등이 있다.
황사로 인해 눈이 가렵고 붉어지며 눈에서 끈끈한 분비물이 나오는 등 알레르기성 결막염의 초기 증상으로 의심될 때는 가까운 약국에서 약사와 상담 후 증상에 적합한 안약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결막과 각막 손상이 심해 2차적 염증이 생기거나 세균에 감염된 경우에는 항균점안제 등의 약물 투여가 필요하므로 의료기관을 방문해 의사의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안약을 사용할 때는 손을 깨끗이 씻고, 안약 용기의 끝부분이 눈꺼풀과 속눈썹에 닿으면 약액이 오염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또한 개봉 후 한 달이 지난 안약은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일회용 안약은 개봉 즉시 사용해야 하며, 두 종류 이상의 안약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3분내지 5분의 간격을 두고 넣는 것이 좋다.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렌즈를 빼낸 후 안약을 넣으며, 안약을 넣은 후엔 최소 30분 후에 렌즈를 다시 착용하는 것이 좋다.
식약청은 봄철 황사로부터 건강한 눈을 지키기 위해 무엇보다 황사가 심할 때는 외출을 자제하고, 귀가 후에는 손과 눈 주변을 깨끗이 씻어 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