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12:13 (금)
의료기 허가규제, '끝장 토론'은 계속된다
상태바
의료기 허가규제, '끝장 토론'은 계속된다
  • 의약뉴스 박영란 기자
  • 승인 2009.04.06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끝장토론 결과... 총34개 과제중 22건 즉시 수용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윤여표)은 지난 3월 24일 의료기기업체와 함께 ‘의료기기 허가심사 무엇이 문제인가? 라는 주제로 실시한제1차 끝장토론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토론은 형식과 시간의 제약 없이, 모든 규제문제를 다 끄집어내어 서로 이해될 때까지 진행됐으며, 오전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8시간에 걸친 마라톤 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토론에서는 총34개의 질문 및 건의사항들이 봇물처럼 터져 나왔으며, 22개의 건의사항을 그 자리에서 수용하였다. *건의사항 : 총34건(즉시수용 22, 일부수용7, 불수용2, 추가논의 3건)

즉시 수용 된 주요내용은 ▲‘신개발의료기기 도우미’ 대상확대 ▲품목허가 구비서류인 시험검사성적서 제출 폐지 조기 추진 ▲일괄적으로 정하는 보완요구 기간(30일간)을 시험검사에 소요되는 기간에 맞게 탄력적 운용 ▲뼈 분말에 첨가물을 혼합하여 만든 의료기기의 경우, 안전성·유효성심사 이중으로 받지 않도록 개선 ▲시험검사에 필요한 시료 수 절감방안을 사례별로 공개하는 것 등이다.

그러나 식약청은 국민의 안전과 직결되는 건의사항에 대하여는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주요 내용은  ▲소유래제품에 대한 BSE(소해면상뇌증, 광우병) free certificate 제출 완화 ▲별도의 임상시험 없이 레이저수술기의 여드름치료 효능·효과를 인정 등의 건의사항에 대하여는 제품마다 안전성·유효성 검증이 필요하므로 불수용(No)으로 결정하였다.

끝장토론회의 본래 목적과는 달리 현장에서 수용, 불수용을 결정할 수 없는 시간을 갖고 전문적인 검토가 필요한 정책 건의사항도 있었다.

주요 내용은 ▲변경허가가 필요없는 경미한 변경기준마련(바퀴위치변경 등) ▲주요 부분품별 허가방식 적용(X-ray 발생장치 등) 등 제품의 주요기능이 아닌 부가적인 기능변경에 대해 업계의 자율성을 확대해 달라는 건의사항이었다.

이러한 건의사항에 대해 원칙적으로 동의한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세부사항에 대하여는 산업계, 소비자단체, 식약청 등 실무워킹그룹을 구성하여 세부 기준을 마련하기로 하였다.

이번 끝장토론 이후, 산업계 주요 참석자(10명)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참석자는 이번 토론회가 업계와 의사소통의 장 역할을 하였다고 평가하였으나, 일부 참석자들은 업계 전체가 모인 끝장토론보다는 테마별 소규모 끝장토론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끝장토론의 취지를 살려 4월에 산업계, 소비자단체로 구성된 실무워킹그룹을 구성하여 테마별 끝장 토론을 실시할 예정이다. 

윤여표 식약청장은 업계와의 의사소통의 확대를 통해 안전과 무관한 관행적·절차적 규제를 과감하게 없애 의료기기 산업이 우리나라의 차세대 성장 동력 산업이 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