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21 21:36 (월)
'루센티스', 국내 임상 결과 최초 발표
상태바
'루센티스', 국내 임상 결과 최초 발표
  • 의약뉴스 최봉영 기자
  • 승인 2007.11.0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효능 인종따라 차이...한국인 대상 의미
한국노바티스 황반변성치료제 ‘루센티스’에 대한 국내 임상 결과가 최초로 발표됐다.

루센티스는 최초 황반변성치료제로 이미 세계 각국에서 대규모 임상을 통해 효능이 입증됐으나, 지역 또는 인종에 따라 치료 효능이 차이를 보인다는 점에서 이번 국내 임상은 중요하게 평가받고 있다.

경희대의대 안과 곽형우 교수팀의 주도로 이뤄진 이번 임상은 노인 황반변성 환자 13명을 대상으로 기존 치료와 함께 황반변성 치료제 루센티스 0.5mg을 4주 간격으로 3회 주사한 후 경과에 따라 추가 주사하는 방식으로 6개월 후 경과를 관찰했다.

그 결과, 시술 전 평균 0.15였던 시력이 6개월 후 0.4까지 향상돼 전문시력표상 평균 4줄 정도의 시력이 호전됐다.

6개월 동안 루센티스의 평균 투여 회수는 3.5회에 불과해 대부분 초기 3회 만으로도 충분한 효과를 봤다.

치료효과를 보여주는 또 다른 지표인 망막의 두께 역시, 시술 전 323.2um였던 것이 6개월 후에는 120um으로 2.7배 감소했다.

이는 불필요하게 자라나는 신생혈관과 염증 등으로 부풀어 오른 망막이 시술로 인해 가라앉고 있음을 나타낸다. 시술 효과는 초기에 특히 크게 나타나 시술 12주까지의 초기 기간 동안 126.3um까지 급격히 떨어진 후 이후 점진적으로 망막 두께가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곽형우 교수는 "노인성 황반변성은 방치할 경우 발병 후 수개월에서 2년 이내에 실명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특히 중심 시력의 손상을 가져와 환자들의 일상생활 자체를 어렵게 하는 치명적 질환"이라며 "시력이 떨어지는 것을 막는 수준의 기존 치료법과 달리 시력을 회복 시켜주는 치료제가 국내 환자들에게도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처음으로 입증했다는 점에 이번 임상의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루센티스는 국내에서 지난 8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승인을 받았으며, 11월 중으로 본격 시판될 예정이다.

한편, 한국노바티스는 루센티스의 내년 보험 등재를 목표로 유관 단체와 협상을 진행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