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발표된 10개 제약사 불공정거래 혐의 과징금 발표의 충격이 가시지 않은 가운데, 추후에는 국세청 세무조사가 이어질 것으로 보여 업계에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2일 전화통화에서 “제약사 조사과정 중 회계처리를 정상적으로 하지 않고, 계정을 변칙·운용해온 일부 사례가 발견됐다”고 말했다.
이에 “10개 제약사 리베이트 등 조사 자료를 모두 국세청에 건네준다”며 “국세청이 이를 토대로 실제 혐의가 있는지 조사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제약업체들이 국세청 조사를 받게 되면 접대비를 포함한 각종 비용처리와 부당공제여부에 대한 검증을 집중적으로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해당 제약사들은 긴장의 끈을 놓치 않고 있다.
생각했던 것보다 적은 과징금으로 안도했던 분위기가 세무조사라는 폭탄을 맞게 되면서 과징금보다 더 큰 세액을 부담할 지 모른다는 불안감이 엄습하고 있는 것이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업계의 어려운 사정을 이해 한다면 과징금 발표에 이은 세무조사는 너무한 감이 없지 않다" 고 불만을 토로했다.
한편 서울지방국세청은 지난 10월 초부터 삼진제약과 몇몇 제약사에 대한 세무조사를 벌이고 있어, 조사 취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삼진제약 관계자는 2일 “이번 조사는 5년마다 받는 정기세무조사이다. 최근 세금을 잘 납부하여 세무조사를 한 차례 면제 받아, 이번에 9년 만에 정기세무조사를 받고 있다”며 제약사 리베이트에 따른 조사와 별개사안임을 강조했다.
삼진은 이르면 오늘(2일), 늦어도 다음 주에 정기세무조사를 마친다.
서울지방국세청은 현재 삼진제약을 비롯하여 몇몇 제약사 세무조사 진행여부에 대해 “원칙상 밝힐 수 없다”고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