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21 21:36 (월)
일반약 슈퍼판매 방패는 복약지도
상태바
일반약 슈퍼판매 방패는 복약지도
  • 의약뉴스 박현봉 기자
  • 승인 2007.05.17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야간시간 개국 등 연장 근무 필요성 제기

일반의약품의 수퍼판매를 저지하기 위해서는 약사들의 복약지도 개발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6일 열린 서울시약사회의 약국경영활성화 2차 좌담회에 참가한 패널들은 한결같이 약국에서의 일반약판매가 복약지도를 통해서 차별화를 가진다고 강조했다.

이날 첫 번째 토론주제로 진행된 ‘일반의약품의 수퍼 판매 저지는 앞으로도 계속 가능한 것인가’는 가장 활발한 토론이 진행된 주제 중의 하나였다.

▲ 패널들은 일반약의 슈퍼판매를 막기 위해서는 복약지도를 개발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했다.

먼저 유대식 서울시약사회 정책기획단장은 “의협쪽이 현안을 이끌기 위해 정치적으로 이 문제를 활용한다”면서 “일반의약품 수퍼판매를 주장했던 시민단체는 부작용대책을 마련 중이지만 어려운 것으로 알고 있다”고 관련 상황을 설명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그는 “복약지도와 야간시간 개국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하다못해 박카스를 판매하더라도 부작용에 대한 설명과 질환 상담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홍성걸 중외제약 상무도 “복약지도를 통해 일반슈퍼 판매와 약국 판매의 차이를 알게 해야한다”고 밝혔다. 그는 “약사가 약에 대해 지도를 철저히 한다면 소비자들의 인식도 달라지고 계몽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영숙 서울시약사회 약국환경개선추진단장은 “밤늦은 시간에 소화제와 진통제가 필요하다고 슈퍼판매를 허용한다는 것은 안 될 일”이라며 “수퍼판매를 허용하면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소형약국은 정말 심각해질 것”이라고 우려를 나타냈다.

허정 메디팜 대표는 “복약지도 상담 포인트는 개발이 많이 되고 있다”며 “한마디 한마디를 내뱉더라도 참신한 멘트는 무한적이다”고 복약지도에 대한 개발노력을 강조했다.

그는 덧붙여 “근본적인 문제를 야기한 것은 약사들의 책임”이라며 “약사회 중심으로 대국민적인 홍보가 강화돼야 한다”며 약사회의 적극적인 대응릉 주문했다.

이날 좌담회에서는 복약지도 개발과 함께 약국영업시간 연장에 대한 논의도 활발했다. 그러면서 의약품외 품목취급에 대한 약사들의 접근도 제기됐다.

코오롱 웰케어 W Store 최석순 상무는 "일반약 수퍼판매는 약국보다 숫자가 적은 편의점보다는 일반소매점을 의미하는 것"이라며 “휴일영업을 하면서 의약품뿐만 아니라 편의품도 취급하는 것에 대해 약사들의 인식전환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허대표도 이에 동의하면서 “제주도에서 방문했었던 25시 약국은 편의품의 매출비중이 절반을 차지했다”며 “수익성이 있는 상품이라면 과감히 투자해야한다”고 인식의 확대를 주문했다.

이날 좌담회에서는 이외에도 소형약국 경영활성화, 소비자에 맞는 대응과 약국이용 형태, 약국내 드럭스토어 적합성 등 15가지 주제로 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패널로 참가한 사람들은 유대식 서울시약사회 정책기획단장, 정영숙 서울시약사회 약국경영추진단장, 정종근 대웅제약 상무, 홍성걸 중외제약상무, 허정 메디팜 대표, 최석순 코오롱 웰케어 W-Store 상무, 조동환 약사공론 편집부국장, 이종운 약업신문 편집국장 등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