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의약품유통의 선진화를 위해서는 점진적인 규제 완화로 대형화, 협업화를 유도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오는 26일 한나라당 안명옥 의원 주최의 토론회에서 발표할 발제문에서 의약품정책연구소 한오석 소장은 이같이 밝혔다.
의약품 유통정책을 주제로 한 이날 토론회에서 그는 ‘의약품 유통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과제-선진국 사례에 비추어 본 의약품 유통방향’이라는 제목으로 발제할 예정이다.
그는 의약품 산업의 특성으로 ‘국가의 통제와 제도적 규제’와 ‘큰 연관 산업 효과’, ‘고도지식기반산업’이면서 ‘고부가가치산업’, ‘특정 약효군 내 대등한 경쟁 가능’ 등을 제시했다.
특히 의약품 유통 구조의 특성으로 ▲ 품질보존을 위해 취급상 주의사항이 많음 ▲ 소량 다품종, 다빈도 유통이 많음 ▲ 상대적 고가 재고비용 ▲ 타상품과 혼재하여 보관하거나 운송할 수 없음 ▲ 시설 및 관리가 복합적?통합적으로 이루어 져야함 ▲ 사용기한 및 추적관리가 매우 중요함 ▲ KGSP(Korean Good Supplying Practice) 교육 및 훈련 필요 등을 열거했다.
한소장은 ‘국내 의약품 유통산업 현황과 문제져으로 우선 도매업체수가 과다하고 영세하다고 지적했다. 또 54%에 불과한 도매유통비중은 선진국인 덴마크 100%, 독일 93%, 일본 92%, 영국 91%, 프랑스 85%, 미국 79%에 비해 낮은 수준이라고 밝혔다.
그는 “제조업체는 연구개발과 생산에 주력하고 도매업체는 유통을 전문화하는 것이 국제추세”라며 “이것이 ”선진화된 의약산업 발전을 도모하는 것“이라고 결론을 내리고 있다.
이와 함께 과도한 경쟁과 변칙거래 등을 개선하기 위해 정부가 개입해야한다고 제시했다.
이를 위해 점진적인 규제완화로 도매업체의 대형화나 협업체제를 통한 규모의 경제 효과를 유도해야한다고 밝히고 있다.
한편 23일 기자간담회를 연 한오석소장은 의약품정책연구소의 자생력을 위해 다양한 내용으로 연구용역을 수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위해 경쟁력있는 정예연구인력과 우수한 객원연구시스템을 도입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