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동대 명지병원(병원장 김병길) 정신과 구민성 교수가 최근 괴이한 성격(분열형 인격장애)을 가진 사람의 뇌 구조를 밝혀내는데 성공했다.
구 교수는 하버드 의대 맥칼리 교수와 공동으로 하버드 의대의 분열형 인격장애환자 29명의 뇌 사진을 분석한 결과, 괴이한 성격을 가진 여성 29명의 뇌는 모두 정상인 여성의 뇌 보다 바깥쪽 부위인 피질이 위축돼 있으며, 피질 중에서도 특정부위에서 회질이 눈에 띄게 적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번 연구의 제 1저자인 구 교수는“뇌는 바깥 부위의 회색을 띄는 회질(피질)과 안쪽 부위의 흰색 부위(백질)로 구성돼 있는데 괴이한 성격의 사람들은 백질은 정상이나 회질이 전반적으로 위축돼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특히 회질 중 언어 기능을 담당하는 좌측 측두엽과 감정기능을 담당하는 상부전두엽, 통합기능을 담당하는 두정엽 일부가 위축돼 있다”며 “괴이한 성격의 사람뿐만 아니라 정신병적 증상을 가진 사람의 경우도 뇌 피질(회질)이 전반적으로 위축돼 있을 것으로 본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 10월 미국의사협회가 발간하는 일반정신의학지‘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10월호에 발표돼 세계 정신의학자들의 관심을 불러 모았다.
하지만 구 교수는 “뇌 회질의 위축이 괴이한 성격을 유발하는 메카니즘은 아직 밝혀내지 못했으며 이런 메카니즘 규명이 앞으로의 연구과제”라며 “분열형 인격장애자에 대한 약물치료를 포함한 생물학적 치료의 이론적 틀을 제공하는 데 이번 연구결과의 의의가 있다”고 언급했다.
한편 괴이한 성격이라면 다른 사람들이 좀처럼 생각하지 않는 생각들로써 텔레파시를 가지고 있다고 믿는다거나 ‘육감’이 발달해서 남들의 생각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이 대표적이다.
이들 상당수가 우연한 계기로 인해 피해 의식이 생기거나 남을 지나치게 의식해 친구가 적고 혼자 지내기를 좋아하며, 가끔 눈에 띄게 이상한 말이나 행동을 하는 경우도 있어 신이 들린 것으로 판단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