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대한의사협회(회장 김택우)가 2026년도 의대 정원과 관련한 정부의 제안설을 일축했다.
교육부 이주호 장관이 대한의사협회에 2026학년도 의대 정원을 증원 이전 수준인 3058명으로 제안했다는 보도가 이어지자 선을 그은 것.
의협 김택우 회장이 취임 후 계속해서 의대 교육과 관련한 정부의 마스터플랜을 요구했지만, 아무런 답도 없는 상황에서 의대 정원을 논의하는 것은 순서가 아니라는 지적이다.

의협 관계자는 “교육부에서 연락이 왔다는 이야기를 듣지 못했다”며 “공식적으로나 비공식적으로도 아무런 제안이 오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어 “의협은 그동안 계속해서 정부에 의대 교육의 마스터플랜을 요구했었다”며 “의대 교육 관련 계획이 발표되지 않은 상황에서 의대 정원을 이야기할 생각은 없다”고 단호한 이장을 보였다.
특히 “정부가 갑자기 정원 이야기를 하는 것은 이치에도, 순서에도 맞지 않는다”며 “교육부가 내부적으로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는 몰라도, 의협과는 대화하지 않았다”고 잘라 말했다.
정부가 의대 정원을 제안하더라도 논의가 쉽게 진전되기는 어려울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그동안 정부가 의료개혁이라는 이름으로 여러 대책을 동시다발적으로 발표해 의료계의 반발을 샀던 상황에서 의대 정원 동결이라는 카드만으로는 문제를 타개할 수 없다는 것.
한 의료계 관계자는 “그동안 복지부와 교육부는 의대 정원을 추진했고, 의료개혁특위는 독자적으로 필수의료패키지라는 이름의 정책들을 대거 발표했다”며 “이렇게 조직별로 대책을 쏟아내는 상황에서 정원 동결만으로 문제를 풀 수 없다”고 말했다.
그 이유로 “지금 현장을 떠난 전공의와 의대생들은 의대 정원만이 아니라 필수의료패키지 등 여러 문제들을 동시에 풀길 원하고 있다”며 “한 가지 대책만로는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의료대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의협과 전공의, 의대생의 의견을 경청해야 지적이다.
이 관계자는 “이번 문제에서 가장 중요한 당사자는 의대생과 전공의”라며 “특히 이번 의협 집행부는 이들의 목소리를 가장 잘 듣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는 현 상황에서 가장 중요한 당사자인 의대생과 전공의의 목소리를 들으면서 의협과 함께 합의점을 찾아야 한다”며 “이와 동시에 그동안 일방적으로 추진한 정책과 일부 관료들의 잘못됐던 발언들을 사과하는 모습이 나와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