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정부가 의료계 집단행동으로 인해 발생한 의료 공백에 대응을 잘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과반을 차지했다.
한국갤럽은 6일, 지난 3일부터 5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여론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갤럽은 ▲2025학년도 의대 입시 증원에 대한 평가 ▲정부의 의료계와 의료 공백에 대한 평가 ▲2026학년도 의대 증원 재논의 제안에 대한 평가 ▲의료 공백으로 인한 우려감 등을 조사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6%는 2025학년도 의대 입시 정원 확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이 수치는 지난 6월에 진행한 여론조사 결과와 비교하면 10% 하락한 수치다.
정부의 의료공백 대응에 관한 질문에는 64%의 응답자가 잘못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그리고 2026학년도 의대 증원 재논의안에는 47%의 응답자가 찬성했고 36%가 반대했다.
응답자의 79%는 이번 의료대란으로 인해 아플 때 진료받지 못할까봐 걱정된다고 답변해 불안감을 드러내기도 했다.
이처럼 정부의 의료대란 대응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이 과반을 차지한 상황에서 여당도 움직이기 시작했다.
국민의힘 추경호 원내대표는 6일 오전, 원내대책회의에서 2026년도 의대 증원을 원점 재논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추 원내대표는 “지금이라도 2026학년도 의대 증원 문제를 포함해 의료개혁 문제에 대해 언제든지 열린 마음으로 원점에서 논의할 수 있다는 게 정부와 당의 입장”이라며 “의료계에서도 대화의 장으로 돌아와 합리적인 방안을 찾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동훈 당 대표도 같은 날, 현안브리핑에서 의료계, 정부, 정당이 함께하는 4자 협의체 출범을 제안했다.
한 대표는 “의대 증원 문제로 장기간 의료 공백이 발생하면서 국민 불편이 가중되고 응급의료 불안이 크다”며 “여ㆍ야ㆍ의ㆍ정이 함께 머리를 맞대고 의료 개혁이 국민에게 도움이 되도록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협의하고 대안을 모색하는 협의체를 구성하자”고 말했다.
이처럼 여론의 변화와 정치권의 움직임이 이어지자, 정부 정책 방향 전환 여지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왔다.
보건의료계 관계자는 “정부 대응을 비판하는 여론이 과반을 넘었고, 이에 반응한 여당의 움직임도 이어지고 있다”며 “정부가 일방적으로 2026학년도 의대 정원 확대를 추진하기 어려운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정부가 여론을 의식하고, 여당의 의견까지 반영한다면 의료계와 대화의 접점을 다시 만들 수 있다”며 “의-정 갈등의 해법을 빨리 찾고 국면 전환 방법을 만들길 바란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