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21 21:36 (월)
애브비 린버크 궤양성대장염 임상 3상 성공
상태바
애브비 린버크 궤양성대장염 임상 3상 성공
  • 의약뉴스 이한기 기자
  • 승인 2020.12.10 16: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구용 JAK 억제제...적응증 추가 가능성

애브비의 경구용 JAK 억제제 계열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 린버크(Rinvoq, 성분명 유파다시티닙)가 궤양성대장염 치료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입증됐다.

애브비는 중등도에서 중증 궤양성대장염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실시된 임상 3상 유도요법 연구인 U-ACHIEVE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다고 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1일 1회 유파다시티닙 45mg은 1차 평가변수인 8주차 임상적 관해율과 2차 평가변수를 모두 충족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 애브비의 린버크는 성인 중등도에서 중증의 궤양성대장염에 대한 임상 3상 시험에서 1차 평가변수 및 모든 2차 평가변수를 충족시켰다.
▲ 애브비의 린버크는 성인 중등도에서 중증의 궤양성대장염에 대한 임상 3상 시험에서 1차 평가변수 및 모든 2차 평가변수를 충족시켰다.

U-ACHIEVE는 성인 중등도에서 중증 궤양성대장염에 대한 유파다시티닙의 안전성 및 효능을 평가하는 유도요법 임상 3상 시험 2건 중 첫 번째 연구다.

이 연구에서 8주차에 임상적 관해에 도달한 환자 비율은 유파다시티닙 복용군이 26%, 위약군이 5%로 분석됐다.

또한 8주차 내시경적 개선을 달성한 환자 비율은 유파다시티닙 치료군이 36%, 위약군이 7%로 유파다시티닙 치료군이 유의하게 더 높았다.

조직학적-내시경적 점막 개선에 도달한 환자 비율은 유파다시티닙 치료군이 30%, 위약군이 7%로 집계됐다.

8주차 임상적 반응을 달성한 환자 비율은 유파다시티닙 치료군이 73%, 위약군이 27%였으며 2주차에 임상적 반응을 경험한 환자 비율은 유파다시티닙 치료군이 60%, 위약군이 27%였다.

유파다시티닙의 안전성 프로파일은 이전에 여러 적응증에 대한 연구에서 나온 안전성 결과와 일치했으며 새로운 안전성 위험은 관찰되지 않았다.

가장 흔하게 관찰된 이상반응은 여드름, 혈중 크레아틴인산활성효소 수치 상승, 비인두염 등이었다. 심각한 이상반응은 유파다시티닙 치료군의 2.5%, 위약군의 5.8%에서 발생했다.

U-ACHIEVE 연구의 전체 결과는 향후 학술회의 발표와 동료검토 저널 게재를 위해 제출될 예정이다.

애브비의 마이클 세베리노 부의장 겸 사장은 “다양한 작용 기전을 가진 여러 치료 옵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환자가 질병 조절에 도달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유파다시티닙이 궤양성대장염 환자에서 임상적, 내시경적, 조직학적 결과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이러한 결과에 고무돼 있다”고 말했다.

린버크는 류마티스관절염, 궤양성대장염, 아토피피부염, 건선성관절염, 축성 척추관절염, 크론병, 거대세포동맥염, 다카야수동맥염 등 다양한 면역매개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로 평가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