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4-26 06:02 (금)
한의협 최혁용 "치매, 의사가 다 치료 못 해"
상태바
한의협 최혁용 "치매, 의사가 다 치료 못 해"
  • 의약뉴스 신승헌 기자
  • 승인 2018.11.14 06: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다학제적 접근 강조..."한의약 역할 가능성 충분"

한의약이 치매 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것이 국내·외에서 증명되고 있는 만큼 치매의 예방과 치료에 보다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보건의료환경을 정부가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한의계로부터 나왔다.

특히 대한한의사협회는 정부가 치매관리체계 구축을 위해 전년 대비 60% 증액된 2333억 원을 내년도 예산으로 편성했지만, 정작 치매안심센터에 한의사 참여는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며 개선을 요구했다. 이 과정에서 대한의사단체를 향해서는 ‘독점적 권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쓴 소리도 내뱉었다.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 주최로 13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정책토론회에서 한의협 최혁용 회장은 “한의약에 대한 선호도·신뢰도가 높은 어르신들의 건강관리, 특히 치매에 대한 예방과 치료를 위해 한의약을 활용하는 것은 훌륭한 해법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왼쪽부터) 한의협 최혁용 회장, 조성훈, 정인철 교수

이어 “국내에서는 ‘보중익기탕’의 치매 치료효과에 대한 학술논문과 한의학연구원에서 실시한 ‘십전대보탕’을 발효한 한약이 기억력을 개선한다는 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임상결과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해외에서도 일본의 경우 일본신경학회가 치매 환자들에게 ‘억간산’과 ‘조등산’과 같은 한약을 처방하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중국은 경도인지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침 치료’를 시행해 상태가 호전됐다는 연구결과 등을 꾸준히 발표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특히, 최혁용 회장은 “치매를 의사가 다 치료할 수 없다. 그러면 국가는 가용할 수 있는 자원을 총 동원하는 정책을 펼쳐야 하는데, 거기에 간호사, 한의사가 빠질 수 없다”면서, 다학제적 접근이 가능한 정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지금도 독점적 권력을 가진 대한의사협회가 특정단체를 배제하고 자신들이 (치매 치료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며 “(한의계는) 철저하게 국민의 편에 서서 그러한 불합리를 깨야 한다”고 웅변했다.

뒤이어 발제에 나선 경희대 한의과대학 조성훈 교수는 “통합적 치매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지만 한의약 활용은 부재한 상황”이라며 “진정한 한국형 치매관리체계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조 교수는 치매 관련 한약 보험 정책에 별다른 진척이 없다고 꼬집으면서, 갈근 등 단미엑스산 67종은 지금 바로 적용할 수 있는 근거 있는 치매 한약 보험 제제라는 주장을 펼치기도 했다.

대전대 한의과대학 정인철 교수는 치매국가책임제의 성공을 위해 한의사가 치매안심센터에서  협력의사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정 교수는 “(일각에서는) 한의사가 치매 검사를 하느냐고 물어보는데, 현행 요양급여 검사항목에 한방신경정신과 전문의의 치매검사 항목이 있고, 한의사용 치매특별등급 소견소도 엄연히 존재한다”면서 “‘한의사가 치매검사를 할 수 있다, 없다’를 논의하는 것 자체가 모순”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표적인 노인성 질환인 치매는 2017년 기준으로 노인 10명 중 1명에 해당하는 72만 5000여명의 환자가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치매 환자 수는 향후 2024년에는 100만명, 2050년에는 270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