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서지고 깨지고 인습 심해

의약품 안전성은 환자의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하게 받아 들여야 한다. 환자가 복용했을때 약효가 떨어지고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경기도의 한 약사는 “사용 설명서대로 저장했는데 습기가 차고 색이 변색되는 등 이상이 생기는 약이 있다”면서 “조제할 때 일일이 확인해야 된다”고 불만을 털어 놓았다.
이 약사는 “제약사가 안전성 검사를 제대로 하는지 의문”이라면서 제약사의 무책임한 의약품 생산을 비난했다. 실제로 Y제약사의 B제품의 경우 색이 심하게 바래 장기간 보관이 힘들고 S제약의 L제품은 가루가 많이 생기고 검은 반점이 생긴다.
H제약의 S제품의 경우 제피가 갈라지고 심한 균혈이 일어 나며 K제약사와 B제약사의 약품 역시 깨지거나 갈라지는 약들이 조제 과정에서 심심찮게 발견되고 있다.
환자가 약을 보관하는 중에 이상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 냉장보관을 해도 포장안에서 녹아버린다는 것. 이 경우 약국은 다시 조제를 해줘도 환자의 불평은 가시질 않는다.
한 대학병원 문전약사는 “이상이 생겨서 제약사에 전화를 하면 담당 PM은 공장에 연락해 보겠다, 현재로써는 뭐가 문제인지 모른다는 애매한 대답을 한다”면서 “약을 어떻게 만드는지 궁금할 지경”이라고 분통을 터뜨렸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 KGMP 시설에서 생산된다고는 하지만 간혹 일부 이상이 있는 제품이 유통될 수 있다" 고 사실을 시인하면서도" 한 두개 발견되는 것을 가지고 일부 약사들이 과장된 발언을 할 수 있다" 며 본질을 흐렸다.
이 관계자는 " 사실 확인이 될 경우 모두 반품 처리해 주기 때문에 실제로 약사들이 받는 피해는 없다" 고 말했다. 약사회 차원의 불량 ㆍ불법약 추방 운동 만으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정부 차원에서 보다 강력한 부실 의약품 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의약뉴스 박진섭 기자(muzel@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