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21 21:36 (월)
이한우 협회부회장 회원 질타 '물의'
상태바
이한우 협회부회장 회원 질타 '물의'
  • 의약뉴스
  • 승인 2005.07.29 0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도협신문 기고글에서 회원 의무 강조
이한우 도협 부회장 겸 홍보위원장이 회원들을 꾸짖어 물의를 빚고 있다. 이 부회장은 최근 도협 신문에 기고한 글에서 회원들이 협회를 질타하기 보다는 제대로 의무를 다하지 않는 것을 비난했다.

이 소식에 전해지자 한 회원은 " 회비로 운영되는 협회와 협회를 이끌고 있는 집행부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것은 회원의 당연한 권리" 라면서 "잘못한 것을 지적하는 것에 대해 의무를 다하지 않는다고 몰아치는 것은 적반하장" 이라고 흥분했다.

또다른 회원도 " 이 부회장이 도대체 무슨 의도로 이런 글을 썼는지 이해할 수 없다" 며 " 한때 회무를 거부하고 자신이 부회장으로 있던 협회를 비난하더니 이제는 회원을 욕하고 있다" 고 이 부회장의 언사를 나무랐다.

그러나 다른 시각도 있다. 이 부회장이 회무를 하면서 느끼는 고충과 이를 제대로 평가받지 못한데서 오는 아쉬움, 그리고 회원에 대한 질타 라기 보다는 회무에 좀더 관심을 가져달라는 애정어린 요구라고 이해해야 한다는 주장이 그것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이 부회장이 도협신문에 기고한 내용을 싣는다.

"최근 들어 회원사 전화를 회피하리만큼 부담이 된다. 그 이유인즉, 대부분이 많은 회원사들이 협회를 성토하는 이야기 때문이다. 사실 처음에는 회원사들이 하는 성토가 명분이 있다는 생각에서 동감을 가지며, 많은 이해를 해 왔다.

그런데 성토하는 이야기가 많아지고, 협회의 부회장이자, 홍보위원장으로서 회무를 접해 보면서 성토하는 다수의 회원사들이 의무는 하지 않은 채 권리만 주장하는 회원사가 많았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회원으로서 의무를 하지 않으면서 협회를 성토만 한다면 이는 결국 협회를 중심으로 업권을 위한 단합을 와해시키는 일이 아닐 수 없다. 또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성토는 결국 업권의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협회를 뒤에서 발목을 잡는 거나 다름이 없다는 생각을 갖게 한다.

협회를 성토하는 많은 회원사가 “협회가 뭘 하냐?” “회비가 아깝다!”는 등 이야기를 한다. 또 우리는 협회의 역할에 대해 분명히 이해해야 하겠다.

협회의 회무를 크게 분류하면 두 가지다.

첫째는 업권을 위한 對정부 정책사업이다. 둘째는 업권을 위한 홍보사업이다.

그런데 예나 요즘이나 협회에 요구하는 회원사의 성토는 거래에 대한 문제가 제일 많다는 점이다. 사실 거래문제는 거래조건에 따른 거래 당사자의 책임이 제일 크다. 이것이 협회의 책임인양 성토하는 일은 다시금 생각해야 할 일이 아닐 수 없다.

현재 협회는 정책 추진 사항에서도 어려운 상황에 있다. 대형화정책. 이를 위해 도매유통일원화정책. 시설규정 확대정책. 그러나 회원 다수의 목소리는 시설규정이나, 제약사의 권한인 거점화정책까지도 반대성토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렇듯 확실한 정책노선을 가질 수 없는 상황이 협회의 내부사정이 아닐 수 없다.

협회의 힘은 명분이다. 오늘이 아프다고 내일을 없앤다면 도매업권의 희망은 없다. 우선은 도매업권을 키우는 정책에 전국 회원사가 힘을 모으는 게 수순이 아닐까 한다.

다음은 협회 부회장이자, 홍보위원으로서 몇 가지 제안을 하고 싶다.

첫째는 협회의 만성적자 예산운영을 개선해야 한다.

따라서 매출규모별 회비 적용에 대한 방안을 긍정적으로 연구했으면 한다.

업권 보호를 위한 책임감이라면 판매쉐어를 많이 가진 자가 더 많은 부담을 해야 하는 것은 당연하다. 가진 자의 도덕적 의무인 노블리스 오블리제(Noblesse Oblige)라는 의무감을 가져야 한다.

둘째, 협회의 상임위원회별 예산 편성으로 회무의 활성화를 해야 한다.

모든 일을 회장 혼자서 할 수는 없다. 회무의 활성화, 회원 다수의 회무 참여를 위한 각 위원회별 회무활성화가 제일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예산도 각 위원회별 예산을 짜서 각 위원장이 책임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야말로 책임 경영제를 도입하면 좋겠다. 끝으로 그동안 협회 회무진행을 가까이 보면서 정말 아주 어려운 정책사업은 은밀히 진행해야 하는 일이 많다는 점을 느낄 수 있었다. 지난 유통일원화제도에 대해 복지부가 결정하기 까지 공정거래위원회, 부패방지위원회, 국무조정실, 국회, 나아가 이해관계의 상대 단체 등을 설득해야 하는 일들이 있었다.

이렇게 보이지 않는 일을 더 많이 하는 협회를 위해 성토보다는 갈채를 보내는 힘이 있어야 협회는 더욱 힘나는 정책을 개발하지 않을까 싶다. 한편 금번 都協新聞 창간31주년을 진심으로 축하하며 실무자들의 노고에 깊은 위로의 갈채를 보내며 축하 메세지를 대신해 본다."

의약뉴스 이병구 기자(bgusp@newsmp.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