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4-03-29 18:51 (금)
범 치과계, 구강보건 전담부서 설치 강력 요구
상태바
범 치과계, 구강보건 전담부서 설치 강력 요구
  •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 승인 2017.07.17 15: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치협 등 치과단체, 공동성명서 발표

대한치과의사협회(회장 김철수)를 비롯한 대한치과기공사협회, 대한치과위생사협회, 한국치과기재산업협회는 17일 정부 내 구강건강정책관을 포함한 구강보건전담부서 설치를 강력히 요청하는 공동 성명서를 발표했다.

치과 4개 단체는 성명서에서 “대한민국 보건의료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는 치과의료 영역의 눈부신 발전에도 불구하고, 현재 정부 내 구강보건 업무가 전담부서도 없이 공중위생 업무와 함께 처리되고 있는 현실에 좌절감을 느낀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구강건강이 전신건강의 필수적인 구성요소로 고령화 사회 삶의 질을 보장하고 건강수명을 연장하기 위해 국가가 책임져야 할 중요한 보건정책 과제”라며 “2007년 구강보건팀을 해체, 타 부서와 통폐합 및 명칭 변경으로 구강 관련 조직과 예산을 축소시키고 구강보건 사업과 치과의료 공공성을 후퇴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2015년 다빈도 상병 중 치과분야가 2위(치은염 및 치주질환), 6위(치아우식)에 포함되고, 보건의료서비스 분야 가계지출에서 치과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30%에 육박하는 등 치과의료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며 “정부의 무관심속에 공공치과의료 기관과 인력이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의료 소외계층의 치과의료 접근성 악화 및 국민 구강건강 불평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어 매우 안타까운 현실”이라고 강조했다.

또 치과 4개단체는 “4차 산업혁명과 신성장동력 산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현 시점에 치의학 경쟁력 강화 및 치과의료 산업 발전을 통한 국부 창출에 기여하고 궁극적으로 국민들에게 양질의 치과의료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한국치과의료융합산업연구원 설립에도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함을 주지해 달라”고 주장했다.

여기에 이들 단체는 “우리나라보다 국민 구강건강 수준이 높은 미국, 일본, 영국 등 OECD 주요 국가의 대부분이 구강보건전담부서를 운영하고 있는 현실”이라며, “국민들의 구강건강 증진에 대한 관심과 치과의료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시대적 요구를 외면하는 무책임한 태도를 버려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뿐만 아니라 치과계 18개 치과의사회와 10개 유관단체도 정부 내 구강보건과 치과의료정책 업무를 전담하는 부서 신설을 강력히 요구하고 나섰다.

이들 단체는 “현재 구강보건과 치과의료 정책 업무의 일부는 건강정책국 내 구강생활건강과에서 공중위생과 함께 다루어지고 있다”며 “구강보건과 치과의료 관련 복지 서비스 향상 및 고령화에 따르는 각종 국가 고령화정책의 입안, 심의 및 실행에서 소외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전했다.

범 치과계 단체는 “구강건강 관리와 유지가 고령자들의 건강 수명을 연장시키고 삶의 질을 보장하는 주요한 요소임이 널리 인정되고 있다”며, “1997년에 설립된 구강보건과가 2007년에 해체된 후 타 부서와의 통폐합 및 잦은 명칭 변경을 통해 지금의 구강생활건강과로 그 기능이 축소돼 존속해오면서 이로 인해 구강보건 관련 사업 예산 축소, 치과공공의료 인력의 지속적인 감소 등 구강보건사업과 치과공공의료의 급격한 후퇴가 나타났다”고 비판했다.

구강 정책 기능의 축소로 전반적인 국민건강 악화 및 치료비 부담이 가중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특히 치과의료 접근성이 떨어지는 의료 소외계층(중증 고령자와 장애인)에서의 구강건강권의 불평등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게 이들 단체의 주장이다.

또 범 치과계 단체는 “2016년 의료기기 생산 상위 품목에 1위(치과용임플란트)와 7위(치과용귀금속합금)를 차지했고, 한국 치과 의료기기 수출실적이 연평균 20%의 괄목할만한 성장과 함께 해외 치과기공물의 수주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치과의료 산업은 기술융복합화 토대의 중소기업 기반 성장 산업으로 대한민국 신성장동력 창출의 무한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치과대학 및 중소기업에 의존하는 영세성과 정부의 미비한 지원으로 세계시장 진입 및 경쟁에 한계를 느끼고 있다”며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며 한국치과의료융합산업연구원을 설립해야한다”고 강조했다.

범 치과계 단체는 “구강보건 전문성을 강화하고 치과의료 분야에 대한 정책 사업들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보건복지부 내 구강건강정책관을 포함한 구강보건전담부서(구강보건정책과, 치과의료자원산업과) 설치를 다시 한 번 강력하게 요청한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