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약은 성명서에서 일반약의 슈퍼판매는 오남용을 부추겨 국민건강의 악화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시약은 이에앞서 긴급 분회장 회의를 열고 대책반을 꾸렸다. 다음은 성명서 전문.
성 명 서
정부는 일반의약품의 의약외품 확대를 제도개혁이란 미명아래 획책하고 있다. 이는 국민의 약물 오남용을 막기 위해 의약분업을 시행했다는 “정부의 변”을 스스로 부정하는 것이다.
특히 의약외품이란 이름으로 명칭만 바꿔 일반의약품을 슈퍼와 편의점 등에 판매하는 것이 괜찮다고 여긴다면 이는 약물이 갖는 인체영향력을 과소평가한, 우스꽝스러운 탁상행정이다.
이처럼 국민건강과 생명을 경시하고 국민편익을 가장한 복지부의 정책을 개탄하는 가운데 우리 서울특별시약사회 1만여 회원은 다음과 같은 분명한 입장을 밝혀두고자 한다.
― 일반의약품의 의약외품 확대는 안전성․유효성 검증 차원이 아닌, 약물오남용 방지를 위한 안전장치의 확보차원에서 다뤄져야 한다.
― 보건복지부는 국민편익보다 중요한 것이 국민생명임을 깨닫고 복지부 본연의 기본업무방침에 충실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
―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은 의약분업 정착이 이뤄지지 않는 현시점에서 전문의약품 일반의약품에 대한 전면적인 재분류 없이 일반의약품만을 의약외품으로 분류한다는 형평성에 어긋난 억지발상을 버려라.
― 정부는 슈퍼나 편의점의 판매구조상 어린아이나 청소년이 무제한 해열진통제와 같은 부작용 우려약물을 구매해 약물오남용의 단초를 제공한다면 이는 공권력에 의한 국민건강의 희생임을 똑똑히 직시하라.
― 이상의 이유로 일반의약품의 의약외품 확대는 국민건강을 저해하는 행위이며 약의 최고 권위자인 약사가 참여하지 않고 민원제도개선협의회에서 논의된 일반의약품 관련 내용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 만약 이 같은 약사직능의 경고를 무시한다면 모든 사태의 책임을 보건복지부장관, 식품의약품안전청장에게 엄중히 물을 것이다.
의약뉴스 이병구 기자(bgusp@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