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평원 약제비 구입단가 현황 통해 밝혀져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집계한 ‘요양기관별 평균 약제비 구입단가’에 의하면 제약사 직거래가 금지된 종합병원보다, 직거래가 허용된 병원이나 의원 등지에서 구입한 약값이 훨씬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의약품도매협회는 “이는 도매업 유통일원화제도가 불필요한 유통비용을 증가시켜 환자부담이 증가된다는 주장을 증명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이 자료는 도매유통업이 경제적 순기능의 역할자로서 효용성을 나타내며, 도매 유통일원화제도의 필요성을 제고시킨 것이기도 하다”고 덧붙였다.
제품별 요양기관별 평균 약제비 구입단가에 의하면 도매 유통일원화제도로 도매업소가 공급한 종합병원보다 제약사와 직거래로 구입한 의원이나, 세미병원의 약가 차이가 크게는 2배 이상 차이가 있었다.
실사례로 '2003년 하반기의 심평원자료에 의하면, 모제약사의 푸루나졸캅셀 경우 종합병원은 1천781원에 구입했으나, 병·의원에서는 2천728원으로 구입해 1캅셀당 948원 차이가 났다.
또한 모제약의 니세틸정 경우 종합병원은 393원에 구입했으나 병·의원은 723원에 구입해 1정당 약326원 차이가 났다.
의약뉴스 김은주 기자 (snicky@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