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약사회 “의약품 적정사용, 시스템이 중요”
의약품 사용의 적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DUR제도가 삭감 등의 목적으로 인식,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병원약사회 이병구 약제부장은 최근 ‘의료기관에서 의약품 안전사용 방안’이란 자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부장은 “DUR제도는 의약품의 예방적, 치료적, 경험적 사용에 대해 모니터하고 평가하는 수단으로 도입됐다”면서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 의약품 사용의 질을 검토하는 수단이 아닌 삭감 등의 목적으로 인식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이 부장은 DUR제도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 법제화하는 것이 실효성이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특히 의료기관내 약물치료의 적정성 평가를 위해 의사와 약사, 환자 등 전체 구조는 물론 진단, 처방, 조제, 투여, 모니터링 등 과정에 대한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누가 잘못했느냐’가 아니라 ‘시스템에서 무엇이 잘못됐느냐’를 평가해야 하고, 이를 통해 의약품 사용의 지속적인 질 향상을 유지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
이 부장은 “의료기관에서 투약오류 보고나 약물 유해반응 모니터링시스템이 제대로 가동되지 않는 것은 의료인이나 의료기관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라며 “의약품사용의 적정성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이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결국 의료기관에서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나 상황을 보고해 국가적 자료로 축적, 이를 활용하는 한편 다른 의료기관과의 정보 공유를 통해 예방이 가능하다고 그는 역설했다.
그는 이어 지난해 실시된 의료기관평가의 약제부문 평가와 관련 ▲입원환자의 1회분 투약형태 ▲투약오류 방지 기재항목 ▲산제조제 안전 관리 ▲24시간 조제체계 ▲복약관리 등을 강조하고 있지만, 의료기관내 기본 시스템이나 체계적 뒷받침 없는 1회성으로 그칠 가능성이 크다고 꼬집었다.
의약뉴스 홍대업 기자(hongup7@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